진화학자 곤혹스럽게 한 440만년 전 여성 ‘아르디’

진화학자 곤혹스럽게 한 440만년 전 여성 ‘아르디’

손원천 기자
손원천 기자
입력 2022-09-29 17:44
수정 2022-09-29 23:1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화석맨/커밋 패티슨 지음/윤신영 옮김/김영사/700쪽/3만 2000원

이미지 확대
흔히 화석을 ‘논쟁의 뼈’라 부른다. 무수한 논란을 불러오기 때문이다. 한데 440만년 전 여성 ‘아르디’(Ardi)는 달랐다. 내재된 폭발력으로 치면 폭탄이라도 떨어진 듯 학계가 요동쳤어야 하는데 뜻밖에 잠잠했다. 믿어지지 않았거나, 믿고 싶지 않았거나, 말을 아끼고 싶어서였을 것이다. 새 책 ‘화석맨’은 아르디 발굴의 막전 막후를 그려 낸 논픽션이다. 미국 저널리스트 출신의 저자가 한 편의 추리 소설처럼 썼다.

가장 유명한 인류 화석은 ‘루시’(Lucy)다. 1974년 에티오피아 하다르에서 발굴됐다. 당시 카세트 플레이어에서 비틀스의 노래 ‘루시는 하늘에 다이아몬드와 함께’가 흘러나와 루시란 이름을 갖게 됐다. 루시는 큰 어금니, 작은 뇌, 직립 자세가 특징인 오스트랄로피테쿠스속의 여성이다. 1980년대 초까지만 해도 인류의 가계도는 루시가 속한 종을 중심으로 묘사됐다. 약 300만년간 존속했던 이 속의 후손 중 하나가 ‘슬기 사람’ 호모 사피엔스다.

아르디는 루시보다 100만년 이상 앞선 것으로 추정되는 선인류다. 공식 명칭은 ‘아르디피테쿠스 라미두스’로, 2009년 10월 처음 공개됐다. 애초 발굴된 건 그보다 앞선 1994년이다.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의 팀 화이트 교수 발굴팀이 에티오피아에서 발견했으나 15년간 비밀리에 재건 작업을 벌인 뒤 공개했다.

아르디는 인류 진화학자들을 곤혹스럽게 한 불편한 여성이었다. 진화에 관한 주류 이론들과 너무 많이 충돌했다. 아르디는 나무에서 생활한 유인원과 지상에서 두 발로 걷는 이족 보행 유인원의 특징을 함께 갖고 있었다. 침팬지처럼 털이 숭숭 나긴 했어도 허리 펴고 꼿꼿이 걷는 것이 루시의 모습이었는데, 아르디를 통해 인류는 오히려 유인원에 더 가까웠다는 것이 확인된 셈이다.

책은 아르디와 화이트를 두 축으로 전개된다. 화이트는 앙숙 목록이 발굴 목록보다 길 정도로 괴팍한 인물이다. 영화 ‘해리 포터’ 시리즈의 거악 볼드모트처럼 ‘이름을 말해서는 안 되는 자’로 불렸다. 책은 이런 내용들을 압축해 담았다.

 
2022-09-30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