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고사직을 당한 선배를 몇 년 만에 만났습니다. “선배, 나이를 훅 드셨네요”라고 실없는 농담을 건넸습니다. “직장 그만두고 별일 안 하고 살다 보니 그리되더라.” 나이 들수록 자기관리가 중요하다는 게 선배의 말입니다. “넌 어지간하면 회사에 붙어 있어”라는 현실적인 조언도 덧붙였지요.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처음 나이 드는 사람들에게´(슬로디미디어)를 읽다 보니 선배가 떠올랐습니다. 저자는 1930년생으로 2017년까지 여든이 넘어서도 영문학자이자 사회평론가, 베스트셀러 작가로 활동했던 와타나베 쇼이치 조치대 명예교수입니다. 그는 죽는 순간까지 긴장을 놓지 말고 부지런히 살라고 말합니다. “나이가 들면 조용하고 한가로운 곳에서 살아야 한다는 생각은 편견”이라며 “나이가 들었기 때문에 정신적으로 더 많은 자극을 받을 수 있는 도시에서 살라”고 권합니다. 지적 자극을 주는 독서와 공부에 힘쓰라고도 합니다. “독서는 장수의 비결”, “전자책은 영양제이고, 종이책은 한 끼의 식사”라는 재치 있는 표현도 눈길을 끕니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고려대 구로병원 정신건강의학과에서 20년 동안 환자들을 돌봐 온 이현수 의사가 쓴 ‘나는 나답게 나이 들기로 했다´(수카)는 ‘중년 심리 교과서’ 같은 책입니다. 식생활, 긍정적 마음, 명상, 운동 등을 권합니다. 당연한 이야기들이지만 지키기는 어려운 것들입니다. “노년기라는 숲을 산책하듯 유유자적 건너가 보고 싶다”는 저자의 바람이 와닿습니다. 마음을 다잡는다고 생각하고 읽어 보길 권합니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오십 언저리에 있는 분들이라면 책 제목부터 눈길이 갈 겁니다. ‘조금 알고 적당히 모르는 오십이 되었다´(청림출판)는 강사로 활동하는 이주희씨가 쓴 책입니다. 중년이 되면서 느낀 감정들을 솔직하고 담담하게 풀었습니다. 20년 넘게 했던 직장생활과 지금을 비교하며 건강하게 나이 들기를 권하는데, ‘적당히´라는 단어가 눈길을 끕니다. 적당히 여유롭고, 적당히 건강한 인생을 위한 생활과 마음가짐을 제안합니다. 책들을 읽으며, 건강하게 나이 드는 방법에 정답이 있을까 싶어집니다. 나는 어떻게 나이 들 것인가, 고민해 봅니다.
gjkim@seoul.co.kr
2021-04-02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