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의 북소리… 호동의 처절한 몸부림

죽음의 북소리… 호동의 처절한 몸부림

류재민 기자
류재민 기자
입력 2022-10-24 17:28
수정 2022-10-25 10:2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무용극 미래 보여줄 국립무용단 ‘2022 무용극 호동’… 27~29일 해오름극장서 공연

낙랑공주와의 사랑 벗어나
희생되는 인간 내면에 초점
핏빛영상·전자음악 실험 속
무용극 본류 ‘춤연기’ 지켜내
이미지 확대
국립무용단이 60주년을 맞아 선보이는 ‘2022 무용극 호동’은 낙랑 공주와의 사랑이 아닌 호동의 내면에 초점을 맞춰 다양한 모습을 표현한다. 국립무용단 제공
국립무용단이 60주년을 맞아 선보이는 ‘2022 무용극 호동’은 낙랑 공주와의 사랑이 아닌 호동의 내면에 초점을 맞춰 다양한 모습을 표현한다.
국립무용단 제공
갈피를 잃고 바닥에 힘없이 쓰러지더니 이내 일어서서 또 격렬하게 헤맨다. 무한한 절망 속에서 빠져나가 보려는 안간힘은 인간의 괴로움이 어디까지 표현될 수 있는지를 보여 주는 듯하다. 뒤틀릴 대로 뒤틀린 인간의 내면을 처절하게 묘사한 무용수의 몸짓은 국립무용단이 2022년 버전으로 재해석한 왕자 호동의 모습이다.

호동의 고뇌는 낙랑 공주와의 비정한 사랑에서 비롯된 것일까. 호동 이야기를 따라가다 보면 어린 나이에 스스로 택했으되 당한 것이기도 한 그의 죽음이 남는다. 오는 27~29일 서울 중구 국립극장 해오름극장에서 펼쳐지는 ‘2022 무용극 호동’은 여기에 주목했다. 이지나 연출은 “설화가 사실인지는 모르지만 호동이 자결한 것은 역사적 사실”이라며 “평화를 공부한 호동이 집단에 의해 낙랑 공주를 이용해 자명고를 찢고 본인의 내면이 어떻게 피폐해져 갔는지를 상징적으로 많이 구현했다”고 말했다.

이번 작품은 창단 60주년을 기념해 국립무용단 초대 단장 고 송범이 선보인 ‘왕자 호동’(1974)과 ‘그 하늘 북소리’(1990)를 오마주해 현대적으로 재해석했다. 왕자 호동과 낙랑 공주의 사랑 이야기보다는 국가에 의해 개인이 어떻게 희생되는지에 초점을 맞췄다. 팬데믹을 겪으며 새삼 다시 생각하고 느끼게 된 된 국가와 개인 간의 관계를 반영했다.
이미지 확대
지난 11일 열린 시연회에서 단원들이 유일한 소품인 흰 겉옷을 사용한 동작을 선보이고 있다. 국립무용단 제공
지난 11일 열린 시연회에서 단원들이 유일한 소품인 흰 겉옷을 사용한 동작을 선보이고 있다.
국립무용단 제공
호동 설화의 중심에 놓인 자명고는 호동의 내면을 보여 주는 장치로 변신했다. 설화에서 적군이 쳐들어올 때 울리는 것과 달리 이번 공연에선 개인의 세계관과 국가에서 강제하는 세계관이 충돌할 때 울려 호동의 심리를 나타낸다.

지난 23일 막바지 연습에 한창이던 해오름극장에선 죽은 핏빛을 닮은 색으로 채운 배경 영상이 시선을 사로잡기도 했다. 이 연출이 이날 현장에서 직접 요청한 것으로 호동의 내면을 잘 드러내는 장치 중 하나다. 사실주의적인 연기로 서사를 선명히 드러내는 데 초점을 맞췄던 예전 버전의 호동이 아니라 지금 시대에 맞게 호동을 표현하려 한 만큼 조명, 영상 등 무대장치들도 세심하게 신경 썼다. 넷플릭스 드라마 ‘오징어 게임’ OST로도 유명한 이셋(김성수) 음악감독이 ‘탁’, ‘틱’ 등의 노이즈를 비트로 응용한 전자음악 기법인 ‘글리치’와 실시간 코딩 프로그램을 활용해 국악 리듬을 구현하는 등 미래지향적인 시도도 돋보인다.

과감한 시도를 많이 했지만 무용극의 본류를 잃지 않으려고도 노력한 것이 ‘2022 무용극 호동’의 특징이다. 이 연출은 “극이 전달되지 않으면 무용극이 아니라 그냥 무용”이라며 “연기와 무용동작을 구분 지어 표현하기보다는 연기가 가미된 무용동작, 즉 ‘춤연기’ 방식으로 호동을 풀어 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총 8장으로 구성된 이번 작품은 국립무용단 간판 무용수인 정소연·송지영·송설이 공동 안무를 맡았고 단원 모두가 출연한다. 호동의 내면은 때로 개인의 몸짓으로, 때로 집단의 몸짓으로 표현돼 관객들의 내면에 접근한다.

이번 공연은 점점 외면받는 무용극의 미래를 모색하는 무대이기도 하다. 손인영 국립무용단장은 “한국무용을 통해 이야기를 전하는 무용극은 우리나라만이 가진 독특한 형식의 공연”이라며 “무용극에 대해서 좀더 많은 실험을 할 필요가 있다. 이번 공연이 미래의 무용극을 향한 하나의 주춧돌이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2022-10-25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