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웨덴 작가 니나 카넬 첫 아시아 개인전
일상의 사소한 물질 속에는 우리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어떤 힘이 작용한다. 표면장력, 중력, 아주 짧은 순간에 흐르는 고압전류, 인간의 청각을 넘어서는 미세한 소리 등….독일 베를린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스웨덴 작가 니나 카넬(36)은 어떤 물체나 특정 용도가 있는 물질, 일상에서 자주 쓰이는 물건, 쓰임의 흔적이 드러난 것 등에서 비가시적으로 존재하는 힘들을 찾아내 물질과 자연의 본성을 폭넓게 사유하도록 한다.

아르코미술관 제공
‘긴 1000분의3초’는 서서히 흘러내리는 천연 고무를 통해 보이지 않는 중력과 그에 작용하는 물성을 보여준다.
아르코미술관 제공
아르코미술관 제공
서울 동숭동 아르코미술관에서 니나 카넬의 아시아 최초이자 국내 첫 개인전이 열리고 있다. 전시회에는 자력에 의해 매달린 작은 못, 초음파 발생기를 물속에 넣어 기포가 생기도록 하고 그 옆에서 서서히 굳어가는 시멘트, 물이 담긴 얇은 대리석 판, 서서히 녹아내리는 천연고무 덩어리, 휘어져 벽에 걸린 형광등, 100만분의1초 동안에 높은 전압이 탄소가루를 통과한 흔적 등 비가시적으로 존재하는 에너지의 운동성을 보여주는 독특한 작품들이 전시되고 있다.
전시장에서 만난 카넬은 자신의 작품에 대해 “완결이라는 개념에서 벗어나 보이지 않는 에너지나 비물질적 전환과 전이를 가시적 매개체를 통해 추적해내고 그 물성과 주변환경과의 관계를 조각적 상태로 보여주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케이블 피복은 미래적 시간까지 함의”
작가가 섬세한 사유를 바탕으로 찾아낸 것들을 세 개의 방에 나눠 보여주는 전시회 제목은 ‘새틴 이온’이다. 작가의 최근 관심사는 오늘 날 무선인터넷과 와이어리스 세계의 기반이 되는 지하매설 케이블이다. 이번 전시에서 카넬은 기존 작업의 성격과 특성을 보여주는 작품들과 함께 서울 근교에서 수집한 재활용 케이블피복 덩어리들을 이용한 신작들을 선보였다. 수많은 정보를 빛의 속도로 실어 날랐을 광섬유의 심지가 빠지고 껍질만 남은 피복 플라스틱에 열을 가해 모양이 변형된 덩어리들은 내장 덩어리 같기도 하고 동물의 벗어 놓은 허물 같기도 하다. 카넬은 “디지털 문명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케이블 피복 덩어리들은 수십 미터의 물리적인 길이가 정보의 송수신이라는 비물질적인 거리를 내포하는 역설적인 상태”라며 “고무 덩어리들은 새로운 케이블피복으로 재탄생되는 미래적 시간까지 함의한 상태라는 점에서 흥미롭다”고 말했다.
카넬은 스톡홀름 현대미술관(2014), 런던 캠든아트센터(2014), 베를린 함부르거반호프 현대미술관(2012), 빈 현대미술관(2010) 등에서 개인전을 가졌으며 시드니비엔날레, 리버풀 비엔날레 등 다수의 국제전에 참여했다. 한국에선 계원예술대학의 갤러리27에서 열린 ‘우발적 커뮤니티’전(2007), 광주비엔날레(2008)에서 소개된 적이 있다. 전시는 8월 9일까지.
함혜리 선임기자 lotus@seoul.co.kr
2015-06-02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