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땀한땀 세월을 엮는다

한땀한땀 세월을 엮는다

함혜리 기자
입력 2015-05-18 17:46
수정 2015-05-18 17:5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안산 단원미술관서 故 신성희 화백 초대전

채색한 캔버스를 가늘게 찢은 뒤 이를 다시 접고 묶어 입체적 회화를 구현하는 ‘매듭 페인팅’ 기법으로 유럽과 미국 화단에서 주목받았던 고 신성희 화백의 초대전이 안산문화재단 단원미술관에서 열리고 있다. 1948년 안산에서 태어나 서울예고와 홍익대 미술대학 회화과를 나와 1980년대 프랑스로 건너가 창작에 매진하다 2009년 소마미술관 개인전 도중 지병으로 세상을 떠났다.
이미지 확대
신성희 작품 ‘공간별곡’(1998).
신성희 작품 ‘공간별곡’(1998).


프랑스어로 ‘누아주(Nouage)’라고 하는 그의 독창적인 매듭 페인팅은 1970년대부터 회화의 본질에 대한 탐구에서 비롯된 ‘마대 위의 마대’ 연작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실제와 환영 사이에 존재하는 회화의 양면성에 대한 탐구를 거쳐1980년대에는 화려하게 채색된 판지를 불규칙한 형태로 찢어 붙이는 콜라주 작업에 몰두했고 1990년대 초반에는 이를 좀더 적극적인 표현기법으로 확장한다. 점, 선, 얼룩 등 다양한 컬러로 채색된 캔버스를 얇게 잘라 손으로 하나하나 엮어나감으로써 평면을 해체해 3차원 공간에 또 다른 회화의 생명력을 불어넣는 누아주가 만들어졌다.

“해체와 건설, 혼돈과 질서, 압축과 긴장, 당김과 뭉쳐짐의 실험들은 평면에서 입체의 현실로 변화되어 우리들은 바람이 오가는 공간의 문을 열게 하였다.”(2005, 캔버스의 증언)

그의 고향에서 열리는 첫 번째 전시의 제목은 ‘신성희, 고향에 오다’이다. 이번 초대전에는 초기 마대 작업부터 누아주까지 40년에 이르는 화업을 종합적으로 돌아볼 수 있도록 시대별 대표작들이 전시된다. 또 1969년 국전 특선작품과 60년대 후반의 초기작품들도 최초로 소개된다. 더불어 작가가 살았던 안산에서의 유년시절 모습과 프랑스에서의 활동모습, 작품을 구상했던 스케치와 드로잉, 오브제 작품들이 함께 전시된다. 30일까지. (031)481-0504.

함혜리 선임기자 lotus@seoul.co.kr

2015-05-19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