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적 소재 많아져…공연 내내 눈·귀 즐거울 것”

“한국적 소재 많아져…공연 내내 눈·귀 즐거울 것”

입력 2014-12-04 00:00
수정 2014-12-04 01:1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2년 만에 내한 공연 오페레타 ‘박쥐’ 연출 스티븐 로리스

역사상 최고의 오페레타로 꼽히는 ‘박쥐’가 2년 만에 한국 무대에 다시 오른다. 더 박진감 넘치고 더 재밌어졌다. 국내 대표적인 성악가들과 영화배우도 대거 참여했고 한국어 대사도 많아져 더욱 친숙해졌다. 2012년에 이어 이번에도 영국 출신의 스티븐 로리스가 연출을 맡았다. 그는 영국 글라인드본 페스티벌의 단골 레퍼토리 ‘박쥐’의 흥행메이커로 유명하다. 로리스는 “무엇보다 재밌어야 한다”며 “최대한 코믹하고 자연스러운 연기로 유머러스하고 재미있는 분위기를 극대화하겠다”고 했다.

스티븐 로리스
스티븐 로리스
‘박쥐’는 ‘왈츠의 황제’ 요한 슈트라우스 2세의 작품이다. 고리대금으로 살아가는 바람둥이 아이젠슈타인 남작과 그의 재력만 보고 결혼한 속물스러운 아내 로잘린데, 화려한 연예계 진출을 꿈꾸는 하녀 아델레 등이 오를로프스키 왕자의 파티에 참석하면서 벌어지는 하룻밤 해프닝을 다뤘다. 19세기 말 ‘빈 오페레타 황금시대’의 정점을 찍은 대작으로 평가받는다. 신나는 왈츠와 폴카 선율에 재치 넘치는 대사가 어우러져 역사상 최고의 오페레타로 꼽힌다. 오페레타는 ‘작은 오페라’라는 뜻으로, 19세기 후반부터 유행한 작고 가벼운 오페라다. 로리스는 “‘박쥐’가 최고의 오페레타로 꼽히는 이유는 음악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요한 슈트라우스 2세는 아름다운 춤곡들을 많이 남겼는데, 그의 주요 작품들의 음악적 하이라이트 부분이 ‘박쥐’에 모두 응축돼 있다는 것이다. 그는 “모두 한번쯤은 들어봤을 재밌고 아름다운 음악들이 시종일관 흘러나온다”며 “작품을 보는 내내 귀가 정말 즐거운 시간이 될 것”이라고 했다.

로리스는 전체 3막 중 2막을 하이라이트로 꼽았다. 아이젠슈타인이 아내 로잘린데 몰래 참석한 오를로프스키 파티에서 자신의 아내인 줄도 모르고 헝가리 귀부인으로 변장한 로잘린데를 유혹하는 부분이다. 로리스는 “로잘린데가 자신을 유혹하는 남자가 남편인 것을 알아채고 남편을 골탕 먹이기 위해 그의 시계를 슬쩍 빼앗아가는 장면에서 두 사람이 부르는 아리아가 가장 재밌고 긴장감이 넘친다”고 소개했다.

거의 모든 노래와 대사를 독일어로 소화한 2012년과 달리 이번 공연에선 한국어 대사가 많아졌다. 소재도 한국인에게 친숙한 것으로 바꿨다. 샴페인이나 와인 대신 소주와 삼겹살, ‘치맥’(치킨과 맥주) 등이 무대에 오른다. 로리스는 “2012년 큰 인기를 끌었던 ‘말춤’도 다시 한번 극의 주 소재로 다뤄 다 함께 춤판을 벌여 보려 한다”고 했다.

로리스는 ‘프로쉬’ 역의 영화배우 성지루에 대한 기대감도 드러냈다. “성지루는 연기력이 뛰어난 배우다. 직접 써온 대본을 봤는데 아주 마음에 들었다. 특유의 익살스럽고 친근한 말투로 관객들의 마음을 사로잡을 것이다.” 성지루는 술에 취해 비틀거리며 서툰 독일어로 코믹한 대사를 던지는 역을 열연한다. 2012년엔 코미디언 김병만이 프로쉬 역을 맡았다.

로리스는 지금껏 오스트리아, 영국, 중국 등 세계 각지에서 ‘박쥐’를 연출했지만 그에게 ‘박쥐’는 매번 새로운 도전이다. 이번엔 예전 그 어느 공연보다 재미있는 작품을 무대에 올리는 게 목표다. “연출자의 의도대로 조금도 어색하지 않게 웃음의 포인트가 정확하게 맞아떨어지도록 하겠다. 세 개의 공으로 저글링을 하듯 아슬아슬한 재미의 타이밍을 제대로 살려내겠다.” 오는 11∼14일 서울 서초구 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에서 공연된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14-12-04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