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물’과 마주선 당신…괴물이 되겠는가, 인간이 되겠는가
한 여자가 손에 권총을 들고 기다란 테이블 주변을 서성인다. 테이블의 끝에는 한 남자가 입에 재갈을 문 채 의자에 묶여 있다. 여자는 15년 전 당한 고문의 가해자가 그 남성이라고 믿는다. 그는 고문의 트라우마를 딛고 잘살 수 있을 거라는 희망과 가해자를 자신의 손으로 심판하려는 충동 사이에서 흔들린다. 그가 권총을 남성을 향해 겨누자 어디선가 낮은 목소리가 흘러나와 그의 무의식을 파고든다. “계속해. 더 할 수 있어.”
칠레 피노체트 독재정권 시절 고문을 당했던 파울리나와 남편 헤라르도의 평범한 삶은 우연히 자신들의 집에 들인 의사 로베르토로 인해 깨진다. 파울리나는 로베르토가 자신을 고문했던 의사라고 확신하지만, 변호사이자 인권위원회 위원인 남편은 법과 인권을 내세우며 아내를 말린다. 복수와 용서의 딜레마에 놓인 부부는 절박한 사투를 벌인다. 아내는 자신을 고통스럽게 한 ‘괴물’을 처단하기 위해 스스로 ‘괴물’이 되려 하고, 남편은 이성과 감정 사이에서 아내와 갈등한다.
사실 관객들의 눈에 의사 로베르토는 보이지 않는다. 배우들은 그가 의자에 묶여 있다고 가정하고 연기할 뿐이다. 대신 무대에 등장하는 건 손에 마이크를 든 남자 배우다. 그는 아내와 남편의 주위를 맴돌며 해설자처럼 상황을 설명하고, 이들에게 지시를 내리듯 툭툭 말을 내던진다. 파울리나가 고문을 당할 때 흘러나온 슈베르트의 교향곡을 떠올릴 때는 “이제 슈베르트를 들을 수 있을 것”이라며 다독이면서도 의사에게 달려들려 하는 남편에게는 “이러면 당신 경력 끝이야”라며 협박 아닌 협박을 한다. 남자의 목소리는 마이크를 타고 울리며 이들의 분노를 부추기다가도 이성을 찾을 것을 주문한다. 부부가 극복해야 하는 건 가해자 그 자체가 아니라 고문의 기억과 트라우마임을 암시하는 듯하다. 11월 15일까지 두산아트센터 스페이스111. 3만원. (02)708-5001.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2014-10-28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