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운 비평, 그 뿌리는 정확한 해석·삶과의 연결입니다

아름다운 비평, 그 뿌리는 정확한 해석·삶과의 연결입니다

입력 2023-01-01 17:32
수정 2023-01-02 01:2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당선 소감 - 이근희

이미지 확대
이근희
이근희
부족한 글에서 가능성을 보아 주신 두 심사위원님께 감사드립니다.

지금도 그렇지만 예전의 저는 더 못나고 약한 사람이었습니다. 곁에 있어 준 이들 덕에 힘든 시절을 지나올 수 있었습니다. 그때 그곳에서 온기를 나누어 준 사람들, 얼굴을 떠올리기만 해도 든든한 친구들, 함께 읽고 썼던 학우들과 동인들, 가르침을 주신 교수님들, ‘당근과 채찍’을 아끼지 않는 챈시스트들, 옆에서 먹고 자는 여름이와 애기, 밍밍이에게, 고마움과 미안함을 전합니다(챈시스트 일원인 M의 소개로 ‘0인칭의 자리’를 읽었으니 특별한 빚을 진 셈인데, 왠지 그 빚은 늘 듯만 합니다. 미리 양해를!).

비평이 이렇게 아름다울 수 있음을, 그 아름다움은 해석의 정확함에서 나옴을, 삶이 이와 다른 게 아님을, 가르치고 보여 주신 신형철 선생님. 수업 중 딴죽을 거는 저에게 “근희는 유물론자 되기는 어렵겠다” 농 반 진 반 말하셨다가도(어쩌면 100% 진일까요) 어느 날엔 “믿는다” 툭 한마디 해 주신 김형중 선생님. 두 분께 비평을 사사하여 행복합니다.

김희숙님과 이상익님, 이소희님의 가족으로 태어난 것은 제가 이 세상에서 받은 가장 큰 축복입니다. 제가 삶을 스스로 선택할 수 있게 해 주었고, 묵묵히 지켜봐 주었습니다. 제 안에 사랑이 있다면, 그것은 이들이 내어 준 땅과 햇빛과 물에 뿌리를 두고 있을 겁니다.

사람이 거듭나지 아니하면 하나님 나라를 볼 수 없다는 예수님의 말에, 태어난 후로는 늙어가기만 하는 사람이 어떻게 거듭날 수 있느냐고 니고데모는 묻습니다. 멋대로 이 대목을 오래 간직해 왔습니다. 거듭난다는 것을 몸과 마음으로 느끼게 한 S에게, 사랑을 전합니다.

■이근희 ▲1990년 경북 경주 출생 ▲조선대 문예창작학과 박사 수료
2023-01-02 4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