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은 충남 당진시 솔뫼마을 김대건 신부 유적을 국가지정문화재인 사적 529호로 지정했다고 25일 밝혔다.
생가와 김대건 신부 동상, 기념비 등을 포함하는 유적은 한국 최초의 가톨릭 사제로 한국 가톨릭사에 큰 발자취를 남긴 김대건(1821~1846) 신부를 비롯해 그의 증조 김진후, 작은할아버지 김종한, 아버지 김제준 등 4대에 걸친 순교자가 살던 곳으로 알려졌다.
1836년 작성된 김대건의 신학교 입학 서약서에는 출생지가 ‘충청도 면천 솔뫼’로 기록돼 있다. 솔뫼는 소나무 숲이 우거진 산(松山)이란 뜻으로, 지금의 당진시 우강면 송산리를 이른다.
현재 이곳에는 2004년 복원된 김대건 생가와 그의 순교 100주년을 기념해 1946년에 세운 순교복자비, 김대건 동상 등이 소나무 숲과 함께 자리한다. 김대건 신부 기념관, 야외 성당 등도 인근에 위치해 있다.
가톨릭 전래와 신앙·사상의 자유에 대해 집약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곳으로, 지난달 프란치스코 교황 방한 때도 주요 방문지로 꼽혔다.
오상도 기자 sdoh@seoul.co.kr

생가와 김대건 신부 동상, 기념비 등을 포함하는 유적은 한국 최초의 가톨릭 사제로 한국 가톨릭사에 큰 발자취를 남긴 김대건(1821~1846) 신부를 비롯해 그의 증조 김진후, 작은할아버지 김종한, 아버지 김제준 등 4대에 걸친 순교자가 살던 곳으로 알려졌다.
1836년 작성된 김대건의 신학교 입학 서약서에는 출생지가 ‘충청도 면천 솔뫼’로 기록돼 있다. 솔뫼는 소나무 숲이 우거진 산(松山)이란 뜻으로, 지금의 당진시 우강면 송산리를 이른다.
현재 이곳에는 2004년 복원된 김대건 생가와 그의 순교 100주년을 기념해 1946년에 세운 순교복자비, 김대건 동상 등이 소나무 숲과 함께 자리한다. 김대건 신부 기념관, 야외 성당 등도 인근에 위치해 있다.
가톨릭 전래와 신앙·사상의 자유에 대해 집약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곳으로, 지난달 프란치스코 교황 방한 때도 주요 방문지로 꼽혔다.
오상도 기자 sdoh@seoul.co.kr
2014-09-26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