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유선방송사업자 시사뉴스 프로그램 급부상

13일 방송업계에 따르면 방송통신위원회는 원칙적으로 보도 방송을 할 수 없는 경제·오락 채널 등의 PP들이 토론이나 뉴스 형태의 유사 보도를 하는 것을 규제하기 위한 고시를 연말까지 내놓을 방침이다. 지상파·종편·보도 채널에만 주어진 시사·뉴스 프로그램 방영권의 침해를 막기 위해서다.
이런 가운데 논란의 중심에서 벗어난 SO들은 꾸준히 몸집을 불리며 웬만한 지역방송국에 버금가는 보도팀을 꾸리고 있다. ‘지역 케이블방송’인 SO는 현행법상 지역 뉴스를 기반으로 한 보도·토론 프로그램 방영에 제한을 받지 않기 때문이다. 방통위와 미래부도 SO의 보도 기능에 대해선 지역 여론의 다양성 확보 차원에서 아직 ‘규제’의 칼날을 들이대지 않고 있다.
문제는 2개 이상의 SO를 소유한 복수종합유선방송사업자(MSO)다.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에 따르면 전국에 93개의 SO가 있고 이 중 74개(79.6%)가 2개 이상의 SO를 소유한 복수종합유선방송사업자 소유다. 티브로드(21개), CJ헬로비전(19개), 씨앤앰(17개), CMB(9개), 현대HCN(8개) 등 5곳이다. 1000만 이상의 가입자(가구)를 확보해 수도권에선 지상파 방송 못지않은 영향력을 자랑한다.
이들은 하루 평균 5회 이상 지역 뉴스를 방영한다. 총선이나 구·시·군 의원 등 지역선거 때는 후보자 토론회 등도 개최한다.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시청률도 최고 4%대로, 종편 보도 프로그램의 1~2%를 웃돌고 있다. 지난 4·24 재·보궐 선거 때는 MSO들이 서울 노원병, 부산 영도구, 충남 부여·청양군 등 3곳에서 공동 취재에 나서며 지역 여론 형성을 주도했다.
이들은 최근 들어 보도 프로그램 편성에 공격적으로 나서고 있다. 최대 MSO인 티브로드는 지난 6일 경인 지역 뉴스를 개편해 심층 보도를 강화했다. 매일 밤 여러 명의 기자가 출연해 한 가지 이슈를 다루는 ‘오늘의 이슈’를 신설했다. 뉴스는 오전 11시 등 하루 6차례나 방영된다. 취재·카메라 기자, PD 등 보도 관련 인력만 165명에 이르고 밤 11시에 방송되는 메인 뉴스는 평균 시청률이 1%를 넘는다. 지난 재·보궐 선거 때는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평균 시청율이 3.6~4%대까지 나왔다.
CJ헬로비전 역시 ‘헬로tv 지역 뉴스’와 ‘시사기획 나침반’을 방영 중이다. 매일 밤 7시 30분의 메인 뉴스를 비롯해 하루 4차례 정규 뉴스를 꾸린다. 최고 시청률은 4%대를 찍었다. 기자 50여명 등 시사·뉴스 프로그램 제작 인력은 150여명 수준이다.
씨앤앰의 경우 기자 25명 등 96명의 보도제작 인력을 갖추고 하루 4차례 정규 뉴스를 편성 중이다. 현대HCN은 기자 40여명을 포함해 100여명 수준의 보도제작팀을 운영하고 있다. 하루 11회의 정규 뉴스를 편성한다. 지역 현안을 다룬 심층 취재 프로그램의 경우 시청률은 최고 3%에 육박한다.
케이블방송 업계 관계자는 “SO들의 시사·뉴스 프로그램은 아직 정치적 입지 강화보다는 지역 밀착의 성격이 짙다”면서 “지역성은 케이블만이 갖는 특징으로, 가입자 증대에 어떻게 활용할지 고민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심영섭 외국어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는 “SO들의 시사, 보도가 아직까지 종편과 같이 여론 형성의 영향력이 두드러진다고 볼 수는 없다”면서도 “MSO가 늘어남에 따라 소수 사업자의 여론 독점 현상은 고민해 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오상도 기자 sdoh@seoul.co.kr
2013-05-14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