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개토대왕으로 中 동북공정 막는다

광개토대왕으로 中 동북공정 막는다

입력 2012-01-12 00:00
수정 2012-01-12 14:2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역사학계, 광개토대왕 서거 1천600주년 기념 대규모 학술대회

광개토대왕 서거 1천600주년을 맞아 대규모 학술대회가 잇달아 열린다.

특히 최근 중국 관영 CCTV가 발해를 중국으로부터 책봉 받은 말갈족 정권이라고 주장해 파문이 인 데 이어 2003년부터 진행해 온 청나라 역사를 집대성하는 중국의 ‘청사공정(淸史工程)’이 올해 마무리되는 만큼 학계는 역사적 사실에 근거한 대응 논리를 마련할 계획이다.

한국고대사학회는 다음 달 16일 서울역사박물관 강당에서 ‘고구려 광개토왕과 동아시아’를 주제로 국제학술대회를 개최한다.

학술대회는 17일까지 이틀에 걸쳐 1부 ‘광개토왕대 고구려와 동북아 각국의 국가체제 비교’, 2부 ‘광개토왕대 동북아 국제정세와 고구려의 대외정책’으로 나눠 진행된다.

국내 중진 학자는 물론 중국, 대만, 일본 등 동아시아 각국의 저명한 연구자들을 대거 초청했다.

기조 발표는 노태돈 서울대 국사학과 교수가 맡았다. 노 교수는 ‘광개토왕대 고구려사와 동북아 역사의 새로운 이해방향’에 대해 발표한다.

뤄신(羅新) 베이징대 교수는 ‘4-5세기 국제정세하에서 고구려의 정치와 문화 선택’, 이노우에 아오키(井上直樹) 교토부립대 교수는 ‘일본 광개토왕대 거란-후연의 동향과 고구려의 서북방 정책’에 관한 연구 내용을 소개한다.

대만의 리밍런(李明仁) 국립 자이(嘉義)대 교수는 ‘고구려와 모용선비의 관계와 문화교류’에 대해 이야기한다.

국내 학자로는 김현숙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이 ‘광개토왕대 고구려와 동북아 각국의 영역지배방식 비교’, 임기환 서울교대 교수는 ‘광개토왕·고구려 역사 문화의 대중교육’을 발표한다.

동북아역사재단은 오는 8월 30-31일 ‘광개토왕 시대와 동아시아’를 주제로 국제학술대회를 연다.

겅톄화(耿鐵華) 중국 퉁화(通化)사범학원 교수, 쑨런제(孫仁杰) 지안(集安)박물관 연구원, 하마다 고사쿠(浜田耕策) 일본 큐슈대 교수, 김택민 고려대 교수, 조법종 우석대 교수, 서영수 단국대 교수, 이우태 서울시립대 교수 등 국내외 학자 10여 명이 주제 발표를 한다.

고구려발해학회도 중국과 일본 학자들을 초청해 올 상반기 중에 광개토대왕과 장수왕을 조명하는 국제학술대회를 열 계획이다.

연합뉴스

박상혁 서울시의회 교육위원장, ‘2025 서울진로직업박람회’ 참석

서울시의회 교육위원회 박상혁 위원장(국민의힘, 서초구 제1선거구)은 지난 16일 양재AT센터에서 개최된 ‘2025 서울진로직업박람회’에 참석, 축사를 전하고 미래 세대의 진로 설계에 대한 서울시의회의 깊은 관심과 지원 의지를 표명했다. 서울시교육청 주관으로 열린 이번 행사는 지난 16일부터 19일까지 진행되며, 박상혁 교육위원장을 비롯해 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 정근식 서울시교육감, 교육청 및 학교 관계자 등이 참석하였다. 이들은 축사와 함께 행사의 성공적인 시작을 알린 후, 행사장을 직접 둘러보며 학생들을 격려하고, 현장의 다양한 프로그램과 운영 상황을 꼼꼼히 살펴봤다. 이번 서울진로직업박람회는 ‘가치를 담아 미래를 그리다!’라는 주제 아래 학생들의 실질적인 진로 탐색을 돕기 위한 5가지 핵심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진행된다. ▲진로상담을 통해 맞춤형 가이드를 제공하고 ▲진로가치체험으로 직업 세계를 간접 경험하며 ▲진로콘서트와 ▲진로특강을 통해 성공 멘토들의 경험과 지혜를 나눈다. 그리고 ▲진로전시에서는 미래 유망 직종과 기술 변화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도록 구성됐다. 박 위원장은 축사에서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에 우리 학생들이 스스로의 잠재력을
thumbnail - 박상혁 서울시의회 교육위원장, ‘2025 서울진로직업박람회’ 참석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