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부정하는 일본 극우세력, 아사히 오보 시인에 ‘준동’

위안부 부정하는 일본 극우세력, 아사히 오보 시인에 ‘준동’

입력 2014-08-07 00:00
수정 2014-08-07 10:5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군위안부 문제와 관련한 일본 정부의 책임을 부정하는 세력들이 아사히신문의 ‘오보 시인’을 계기로 ‘준동’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군위안부 문제를 일본사회에서 의제화하는데 큰 역할을 한 아사히가 지난 5일, 제주도에서 다수 여성을 강제로 끌고 가 위안부로 삼았다는 일본인 요시다 세이지(吉田淸治·사망) 씨의 주장을 토대로 작성한 1980∼90년대의 자사 기사들의 오류를 인정하고 취소하자 일부 정치인들과 언론이 기회를 잡았다는 듯 목소리를 높이는 것이다.

작년 ‘군위안부가 당시에 필요했다’는 망언으로 파문을 일으킨 하시모토 도루(橋下徹) 오사카 시장은 6일 BS니혼TV 프로그램에 출연, “(군위안부) 강제연행이 있었다는 것으로 인해 일본은 세계로부터 부당한 모욕을 당해왔다”며 “일한관계를 꼬이게 한 것은 아사히신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같은 날 오사카시청에서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아사히의) 죄가 너무 크다”며 “강제연행 사실이 최소한 한반도에서는 없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도 동남아, 중국 등 점령지에서 이뤄진 일본군의 군위안부 강제연행이 여러 자료를 통해 확인됐다는 점은 언급하지 않았다.

또 일본 정부가 고노담화를 검증하게 하는데 적극적인 역할을 한 야마다 히로시(山田宏) 차세대당 간사장은 “아사히의 기사가 한국 국민에게 큰 감정적인 반발심을 심었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군위안부 강제연행의 증거가 발견되지 않았다고 주장해온 아베 정권의 핵심 인사인 이시바 시게루(石破茂) 자민당 간사장은 지난 5일 일본군 위안부에 관한 과거 아사히신문의 보도가 “지역의 평화와 안정, 또는 지역 이웃나라와의 우호, 국민의 감정에 큰 영향을 끼친 것이기 때문에 검증이라는 것을 의회의 장에서도 행하는 것이 필요할지도 모르겠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보수 성향인 요미우리와 산케이신문은 6일 자에 이어 7일 자에도 아사히의 오보에 대한 기사와 칼럼을 실었다.

이런 상황에서 중대한 여성인권 침해인 군위안부 문제의 본질을 직시하자는 지적도 잇달아 나왔다.

야마시타 요시키(山下芳生) 일본 공산당 서기국장은 “위안부 문제에서 군의 관여와 강제성을 인정한 고노담화의 진실성은 조금도 손상되지 않는다”고 말했고 사민당의 요시다 다다토모(吉田忠智) 당수는 “위안부 문제를 축소하는 것은 있을 수 없다”고 강조했다.

또 마이니치신문은 7일 사설에서 “’구(舊) 일본군의 관여’라는 표현을 사용해 정치적으로 매듭지은 고노담화를 아베 정권이 계승한다고 세계에 약속한 이상 ‘넓은 의미의 강제성인가’, ‘좁은 의미의 강제성인가’와 같은 국내 논란에 시간을 허비하는 것은 국익을 해친다”며 “’전시하(戰時下) 여성의 존엄’이라는 글로벌 이슈로 인식하고 일본의 대처를 새롭게 구축해 나가야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더불어 사설은 “군위안부 문제는 애초 전시에 여성의 존엄이 짓밟힌 보편적 인권의 문제”라며 “그럼에도 아사히가 요시다 증언을 전제로 한 보도를 이어가면서 국내 논란은 위안부 강제연행 여부에만 초점이 맞춰졌고, 그 결과 여성의 인권이라는 문제의 본질이 왜곡된 것은 유감”이라고 적었다.

구미경 서울시의원, 왕십리역 11번 출입구 승강기 설치 설계용역 진행상황 연이어 점검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 소속 구미경 의원(국민의힘, 성동2)은 지난 28일 왕십리역 11번 출입구 승강기 설치와 관련해 서울교통공사 관계자들과 면담을 갖고, 설계 진행 상황 및 사업 추진 현황을 점검했다. 왕십리역 11번 출입구는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 휠체어 이용자, 유모차를 동반한 보호자, 어르신 등 교통약자들이 오랜 기간 불편을 겪어온 구간이다. 구 의원은 2023년 타당성 조사 용역 예산 확보를 시작으로, 서울시 투자심사 통과 및 2024년 설계비 2억원 확보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을 주도하며 사업 추진의 기반을 마련해왔다. 이번 면담은 승강기 설치 설계가 확정된 이후 가진 세 번째 점검 자리로, 구 의원은 지난 3월, 5월에 이어 7월에도 연이어 사업 현황을 점검하는 등 지속적인 관심과 확인을 이어오고 있다. 현재 해당 사업은 2025년 4월부터 기본 및 실시설계용역이 진행되는 중이다. 아울러 구 의원은 설계 진행 현황을 확인하기에 앞서 왕십리역 현장을 방문해 설치 예정 위치를 직접 살펴보고, 왕십리역 역장과의 면담을 통해 세부 추진 경과와 향후 공정 계획을 공유했다. 이날 구 의원은 “주민 여러분의 불편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기에
thumbnail - 구미경 서울시의원, 왕십리역 11번 출입구 승강기 설치 설계용역 진행상황 연이어 점검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