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구이저우성 쭌이에 위치한 ‘쭌이회의 박물관’에서 한 중국인 부부가 사진 촬영을 위해 옛 공산당 선전 포스터에 나오던 포즈를 취하고 있다. 쭌이는 홍군이 국민당군에 쫒겨가던 대장정(1934~1935) 과정에서 마오쩌둥이 이른바 ‘쭌이회의’를 통해 공산당 당권을 거머진 곳으로 대표적인 홍색관광지 가운데 하나다. 쭌이 EPA 연합뉴스
중국에서 공산당 창당 100주년을 맞아 ‘홍색관광’ 열풍이 불고 있다. 홍색관광이란 중국 공산당 지도자들의 사연이 담긴 지역을 순례하는 것을 말한다. 중국 정부도 이에 맞춰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코로나19와 미국의 압박 등에 맞서 주민 결속을 다지고 내수 활성화도 이끌겠다는 의도다.
3일 글로벌타임스는 “중국 문화여유부가 7월 1일 공산당 창당 100주년을 기념하고자 100개의 ‘홍색관광지’를 소개했다”고 전했다. 중화소비에트 정부가 세워진 장시성 징강산과 홍군의 핵심 근거지인 산시성 옌안 등이 대표적이다. 매체는 “단오절(14일) 연휴를 앞두고 다수 홍색관광지는 이미 철도편이 매진됐다”고 전했다. 문화여유부는 폭발하는 여행 수요에 맞추고자 전문 역사지식을 갖춘 홍색관광 가이드 100명을 선정하기도 했다.
로이터통신은 최근 허베이성 시바이포 르포를 통해 “공산당 기념관 앞 광장에서 당원들이 ‘우리는 절대로 당을 배신하지 않을 것’이라고 외치는 모습이 하루 종일 이어진다”고 보도했다. 시바이포는 1949년 마오쩌둥 전 국가주석 등 공산주의 지도자들이 국공내전 기간에 머물던 곳이다. 10여년 전만 해도 홍색관광은 공무원·학생들이나 다니는 행사였지만, 2012년 시진핑 주석이 집권하면서 판도가 달라졌다. 애국 교육의 영역으로 보고 정부 예산을 쏟아붓자 여행 수요가 폭발한 것이다.
특히 2017년부터 미국이 중국과의 패권 경쟁을 본격화하자 ‘중국이 세계 최고’라고 생각하는 링링허우 세대(2000년대 이후 출생)의 자발적 참여가 크게 늘었다. 실제로 중국 온라인 여행사 퉁청이룽에 따르면 지난 5월 노동절 연휴(1~5일) 기간에 21~30세 여행자 가운데 40% 정도가 홍색관광지를 찾았다.
홍콩 폴리테크닉대 미미 리 교수는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코로나19 상황에서도) 지난해 홍색관광객 수가 1억명을 넘어 국내 여행 수요의 11%를 차지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SCMP는 “공산당 지도자 업적이 지나치게 과장돼 있는 기념지도 다수”라고 지적했다.
베이징 류지영 특파원 superryu@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