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켈 떠난 독일을 어쩌나”… 고민에 빠진 中

“메르켈 떠난 독일을 어쩌나”… 고민에 빠진 中

류지영 기자
류지영 기자
입력 2021-02-02 20:26
수정 2021-02-03 01:4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獨 새 총리 누가 돼도 대중 강경책 예고
美와 틈새 노린 영향력 확대 전략 차질

코로나19 확산 등을 계기로 전 세계에 퍼진 반중 정서를 누그러뜨려야 하는 중국의 고민이 커지고 있다. 서방 세계 지도자 가운데 자국에 가장 우호적인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가 오는 9월 퇴임하기 때문이다. 새 총리가 누구든 지금보다는 중국에 강경한 입장을 보일 것이 확실해서다.

1일(현지시간) 독일 공영방송 ARD에 따르면 메르켈 총리가 이끄는 기독민주당(CDU)에서 새 당수로 선출된 아르민 라셰트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총리는 9월 26일 열리는 연방의회 선거에서 CDU가 승리하면 차기 총리가 될 가능성이 크다.

그는 2005년 11월부터 15년 넘게 집권한 ‘최장수 총리’ 메르켈의 정책을 대부분 계승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중국 문제에 있어서만큼은 기업 인수나 기술 이전, 인권 문제 등을 두고 보다 엄격한 태도를 보일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CNBC방송은 전했다. 컨설팅업체 로디움그룹의 중국 전문가 노아 바킨은 “메르켈 행정부는 중국에 대한 ‘레드라인’(한계선)이 없다는 비판을 받았다. 이 때문에 ‘다음 총리는 중국을 더 거칠게 대해야 한다’는 지적이 많다”고 설명했다.

메르켈 총리는 중국이 ‘무역을 통한 변화’를 통해 민주적 가치를 점진적으로 흡수할 것으로 봤다. 같은 이유로 ‘무늬만 민주주의’ 국가인 러시아에 대해서도 ‘현대화를 위한 파트너십’을 추구했다. 그러나 두 시도 모두 결과적으로 실패했다는 것이 CNBC의 분석이다. 영국 매체 익스프레스는 “메르켈이 정치 무대를 떠나게 돼 신에게 감사하다. 이제 독일도 중국과 러시아 이슈를 제대로 다루게 될 것”이라고 비꼬았다.

독일은 감염병 사태 전인 2019년에도 성장률이 0.6%에 불과할 정도로 제조업이 부진했다. 지난해에는 바이러스 확산으로 5%가 넘게 역성장했다. ‘최대 교역국’인 중국과의 관계마저 악화되면 ‘유럽연합(EU)의 리더’ 독일의 경제는 나락으로 빠질 수도 있다. 메르켈 총리가 미국의 반대에도 ‘중국·EU 포괄적투자협정’ 체결을 주도한 것에는 이런 속내가 있다.

중국은 양국 간 틈새를 지렛대 삼아 영향력 확대를 꾀하고 있지만 메르켈 총리가 떠나면 이 전략에도 차질이 예상된다. 카네기·칭화 센터의 유럽 전문가 시쥐친은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에 “중국은 메르켈 정부와 다자주의·기후변화 대응 등에서 광범위한 협력의 길을 열었다”면서 “독일 새 정부가 미국과의 관계를 복원하려고 해도 중국은 메르켈의 정치적 유산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미국의 압박을 무력화하고자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 강동구 가래여울변 한강 산책로 조성 이어 자연친화 쉼터 조성 본격화

‘강동엄마’ 박춘선 시의원(강동3, 국민의힘)이 장마가 소강상태를 보인 지난 21일 미래한강본부 담당자들과 함께 강동구 가래여울 한강변을 찾았다. 이번 방문은 지난 산책로 조성 이후 변모된 현장을 살피는 차원에서 진행됐다. 가래여울 한강변은 상수원보호구역이자 생태경관보존지역으로 지정되어 있어 상당 기간 방치되어 있었다. 그러나 박 의원의 지속적인 노력을 통해 주민들이 산책하고 이용할 수 있는 휴식공간으로 탈바꿈해 나가는 중이다. 이날 박 의원은 현장점검에서 새로 교체된 막구조 파고라와 산책로 주변 수목 정비 및 6월 1차 풀베기와 가지치기 작업 상황을 살펴보고, 이어서 7월 중 실시될 2차 풀베기 일정까지 꼼꼼히 챙겨봤다. 박 의원은 관계자들과 함께 장마로 훼손된 잔디와 생태교란식물 제거, 편의시설 보강 등 세부적인 관리 개선책을 논의하며 가래여울 한강변을 “방치된 공간에서 시민들이 사랑하는 쉼터로 만드는 것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적극 행정을 펼칠 것을 주문했다. 이날 현장점검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두 가지 사업을 집중 추진하기로 했다. ▲우선 올해 7월부터 9월까지는 간이 피크닉장을 조성하여 ▲평의자 4~5개와 안내표지판을 설치하고 ▲토사 유출을
thumbnail -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 강동구 가래여울변 한강 산책로 조성 이어 자연친화 쉼터 조성 본격화

베이징 류지영 특파원 superryu@seoul.co.kr
2021-02-03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