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rld 특파원 블로그] 큰손 ‘다마’ 기 살리기… 中 “막춤 맘껏 즐기세요”

[world 특파원 블로그] 큰손 ‘다마’ 기 살리기… 中 “막춤 맘껏 즐기세요”

이창구 기자
이창구 기자
입력 2015-09-08 01:00
수정 2015-09-08 01:3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휴일이었던 지난 6일 중국 문화부가 홈페이지에 긴급 공지를 띄웠습니다. 문화부, 체육총국, 민정부(우리의 행정자치부), 주택건설부 등 4개 부처가 합동으로 광장무(廣場舞) 개선 및 활성화 방안을 마련했다는 겁니다. 동틀 녘이나 해 질 녘 광장에 모여 자유롭게 추는 광장무는 중국 중·노년 여성들의 대표적인 취미 생활입니다. 광장무를 즐기는 다마(大?·아주머니)가 1억명이나 된다는 통계도 있습니다.

●문화부 등 4개 부처, 광장舞 활성화 방안 마련

‘막춤’ 개선에 4개 부처가 달려들다니 너무 호들갑 떠는 거 아니냐고요. 속내를 보면 그렇지 않습니다. 광장무 소음으로 주민 간 분쟁이 끊이지 않고 집값 하락을 호소하는 민원이 잇따르자 체육총국은 지난 3월 광장무를 특정 장소에서만 조용하게 추도록 제한하는 방안을 추진했습니다. 그러자 전국의 다마들이 벌떼처럼 일어나 항의했고 결국 이번 개선 방안이 나온 겁니다. 4개 부처는 앞으로 전문가가 개발한 다양한 춤을 무료로 보급하고 지자체는 더 많은 장소를 확보해 다마들에게 제공할 예정입니다.

중국 정부가 다마들의 기를 살려 주는 이유는 뭘까요. 우선 노령화 문제가 있습니다. 광장무를 즐기는 대다수 다마는 퇴직 여성입니다. 자식은 이미 다 커서 독립한 경우가 많습니다. 쓸쓸한 노년을 보내는 이들에게 광장무만큼 좋은 여가 문화도 없습니다.

●노령화 시대 여가 문화 창출… 경제 신바람도 기대

더욱이 이들은 고속 성장의 수혜자로 웬만한 다마는 집이 몇 채씩 있답니다. 한국의 ‘복부인’, 일본의 ‘와타나베 부인’(환차익으로 수익을 얻는 주부)과 비슷하죠. 올 초 중국 증시가 초유의 호황을 누린 것도 다마의 힘이 컸습니다. 예금 금리가 내려가고 부동산 가격이 떨어지자 다마들이 대거 주식 투자에 나선 것이죠.

그러나 최근 주가가 대폭락해 큰 손실을 봤습니다. 더구나 다마들은 세계 금시장의 큰손인데 금값마저 폭락해 손해가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조만간 더 많은 다마가 새로운 율동에 맞춰 광장무를 췄으면 좋겠습니다. 이들의 춤바람이 경제에 신바람을 일으키면 더 좋겠습니다. 광장의 다마들은 한국을 찾는 유커(遊客·중국인 관광객)의 중추 세력입니다.

베이징 이창구 특파원 window2@seoul.co.kr
2015-09-08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