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웨덴, 나토 가입 초읽기… 확장되는 ‘반러 포위망’

스웨덴, 나토 가입 초읽기… 확장되는 ‘반러 포위망’

이재연 기자
이재연 기자
입력 2023-07-12 01:58
수정 2023-07-12 01:5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에르도안, 가입 비준안 보장 합의
우크라 ‘회원 자격 행동 계획’ 면제
패스트트랙으로 합류 가능성 커져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왼쪽) 튀르키예 대통령이 10일(현지시간) 옌스 스톨텐베르그(가운데) 나토(북대서양조약기구) 사무총장의 중재로 스웨덴의 나토 가입을 논의하는 정상회담을 하기 전 울프 크리스테르손 스웨덴 총리와 악수하고 있다. 빌뉴스 AP 연합뉴스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왼쪽) 튀르키예 대통령이 10일(현지시간) 옌스 스톨텐베르그(가운데) 나토(북대서양조약기구) 사무총장의 중재로 스웨덴의 나토 가입을 논의하는 정상회담을 하기 전 울프 크리스테르손 스웨덴 총리와 악수하고 있다.
빌뉴스 AP 연합뉴스
나토(북대서양조약기구) 정상회의가 11일(현지시간) 리투아니아 빌뉴스에서 개막한 가운데 스웨덴의 나토 가입에 청신호가 켜졌다. 우크라이나 역시 ‘패스트트랙’으로 참여할 가능성이 커져 세계 최대 안보 동맹인 나토의 집단안보 영토가 확장될 것으로 보인다. 장기화한 우크라이나 전쟁 와중에 러시아를 에워싸는 서방 포위망이 한층 촘촘해지는 셈이다.

블룸버그 등에 따르면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은 전날 옌스 스톨텐베르그 나토 사무총장이 중재한 울프 크리스테르손 스웨덴 총리와의 회담에서 스웨덴의 나토 가입 비준안을 자국 의회에 전달하기로 합의했다. 튀르키예가 1년 2개월간 부린 몽니를 거둬들이면서 스웨덴은 200년 넘게 유지했던 중립국 지위를 버리고 나토의 품에 들어오게 됐다.

회동 뒤 발표된 공동성명에 따르면 튀르키예의 의회 상정 시한은 언급되지 않았으나 에르도안 대통령은 “가능한 한 빨리 비준이 이뤄지도록 자국 의회와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고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튀르키예는 전날 한때 “우리가 먼저 유럽연합(EU)에 가입할 수 있는 길을 열어야 한다”며 선결 조건을 내걸어 스웨덴의 나토 가입이 물건너가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왔지만 급반전을 맞았다.

또 다른 걸림돌이던 헝가리의 페테르 시야르토 외교장관은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스웨덴 나토 가입) 비준 절차를 완료하는 것은 이제 기술적 문제일 뿐”이라고 밝혔다. 스톨텐베르그 사무총장도 “튀르키예가 입장을 명확히 했다는 점에서 헝가리 문제는 자연스레 해소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자국 정치 상황을 왜 자꾸 꼬집느냐며 가로막았던 이 두 나라에서 비준 절차가 조만간 진행되면 스웨덴은 나토의 회원국 만장일치 여건을 맞춰 32번째 회원국이 된다.

전통적 군사 중립국이었던 스웨덴과 핀란드는 지난해 2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후 같은 해 5월 나토 가입 신청서를 냈다.


박상혁 서울시의회 교육위원장, ‘2025 서울진로직업박람회’ 참석

서울시의회 교육위원회 박상혁 위원장(국민의힘, 서초구 제1선거구)은 지난 16일 양재AT센터에서 개최된 ‘2025 서울진로직업박람회’에 참석, 축사를 전하고 미래 세대의 진로 설계에 대한 서울시의회의 깊은 관심과 지원 의지를 표명했다. 서울시교육청 주관으로 열린 이번 행사는 지난 16일부터 19일까지 진행되며, 박상혁 교육위원장을 비롯해 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 정근식 서울시교육감, 교육청 및 학교 관계자 등이 참석하였다. 이들은 축사와 함께 행사의 성공적인 시작을 알린 후, 행사장을 직접 둘러보며 학생들을 격려하고, 현장의 다양한 프로그램과 운영 상황을 꼼꼼히 살펴봤다. 이번 서울진로직업박람회는 ‘가치를 담아 미래를 그리다!’라는 주제 아래 학생들의 실질적인 진로 탐색을 돕기 위한 5가지 핵심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진행된다. ▲진로상담을 통해 맞춤형 가이드를 제공하고 ▲진로가치체험으로 직업 세계를 간접 경험하며 ▲진로콘서트와 ▲진로특강을 통해 성공 멘토들의 경험과 지혜를 나눈다. 그리고 ▲진로전시에서는 미래 유망 직종과 기술 변화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도록 구성됐다. 박 위원장은 축사에서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에 우리 학생들이 스스로의 잠재력을
thumbnail - 박상혁 서울시의회 교육위원장, ‘2025 서울진로직업박람회’ 참석

드미트로 쿨레바 우크라이나 외교장관은 이날 트위터에 “집약적인 회담 끝에 나토 동맹들은 우크라이나의 가입 절차에서 ‘회원국 자격 행동 계획’(MAP)을 제거하는 데 의견이 일치했다”고 밝혔다. 나토 가입 희망국은 정치·국방·경제를 회원국 수준으로 개혁해야 하는데 우크라이나에 대해선 이 절차를 면제하기로 합의가 이뤄졌다는 것이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침공의 명분으로 ‘나토 동진’에 따른 안보 위협을 들었지만 오히려 나토가 북유럽으로까지 확장하는 결과를 낳았다.
2023-07-12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