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익은 감세 정책 후폭풍 피치, 영국 신용등급 전망 ‘부정적’…트러스노믹스 여파

설익은 감세 정책 후폭풍 피치, 영국 신용등급 전망 ‘부정적’…트러스노믹스 여파

이제훈 기자
이제훈 기자
입력 2022-10-06 14:41
수정 2022-10-06 14:4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YONHAP PHOTO-1551> A man pull
A man pull A man pulls down a banner held by two protesters as Britain’s Prime Minister Liz Truss makes a speech at the Conservative Party conference at the ICC in Birmingham, England, Wednesday, Oct. 5, 2022. (AP Photo/Kirsty Wigglesworth)/2022-10-06 06:12:59/ 연합뉴스
감세정책을 내놨다가 철회하면서 영국이 겪는 후폭풍이 만만치 않다. 신용평가사들이 영국의 신용등급 전망을 잇달아 하향 조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5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국제 신용평가사 피치는 영국의 국가신용등급 전망을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낮췄다. 영국 중앙은행인 영란은행(BOE)의 신용등급 전망도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하향 조정했다. 다만 영국의 국가신용등급은 ‘AA-’로 유지했다.

피치는 “영국 새 정부가 성장계획의 일환으로 발표한 단기적인 대규모 재정 패키지가 중기적으로 재정 적자의 중대한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면서 조정 배경을 밝혔다.

피치는 영국의 재정 적자 비율이 국내총생산(GDP) 대비 올해 7.8%, 내년 8.8%를 차지하면서 정부 채무가 2024년이 되면 GDP 대비 109%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리즈 트러스 영국 총리는 지난달 23일 높은 세율로 망가진 경제를 되살리겠다면서 소득세 최고세율 45%를 폐지하는 방안 등이 담긴 450억 파운드(약 70조원) 규모의 대규모 감세정책을 내놨다. 그렇지만 ‘부자감세’라는 비판이 쏟아지면서 이를 열흘 만에 전격 철회했다. ‘트러스노믹스’로 불리는 감세안으로 파운드화 가치가 미국 달러 대비 사상 최저 수준인 1.03달러로 곤두박질 치고 국채 금리가 급등하는 등 부작용이 속출하면서 감세안을 철회 후에도 여파는 계속되고 있다.

피치는 “영국 정부가 부자 감세안을 철회했지만 정치적 밑천이 약해져 정부의 재정전략에 대한 신뢰와 지지를 추가로 훼손할 가능성이 있다”며 “금융시장의 확신과 정책에 대한 신뢰에 부정적 영향을 끼쳤다”고 지적했다.

지난달 30일에는 다른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도 신용등급은 그대로 ‘AA’로 유지하면서도 국가신용등급 전망을 ‘부정적’으로 조정했다. S&P는 “영국이 다가오는 분기에 기술적 경기침체를 겪게 될 수 있고 2023년에는 국내총생산(GDP)이 0.5% 감소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무디스는 영국 정부에 채무 건전성의 훼손 위험 마저 경고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