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월 미국 오클라호마 털사에서 열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유세장이 텅 비어 있다. AP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지난 6월 미국 오클라호마 털사에서 열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유세장이 텅 비어 있다. AP
“빈 객석을 처음으로 경험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6월 흥행이 저조했던 오클라호마 털사 유세에 대해 밥 우드워드 워싱턴포스트 부편집장과 인터뷰에서 이렇게 밝혔다. 당시 유세를 전했던 폭스뉴스가 토요일 최고 시청률을 기록했다며 위안을 삼았지만, 코로나19에도 강행한 유세가 흥해에 참패하면서 내상을 입었던 셈이다.
서울신문이 입수한 우드워드의 신간 ‘격노’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가짜뉴스들이 ‘그곳(털사 유세장)에 가면 죽음의 방이 될 거다. 가지 마라’고 되풀이 했다”며 언론을 비난했다. 반면 “트럼프 랠리가 폭스뉴스에 역사상 가장 많은 토요일 밤 시청자를 안겨줬다는 (언론사) 헤드라인이 방금 나왔다”며 실패는 아니라고도 주장했다.
우드워드가 프롬프터(연설 내용을 보여주거나 들려주는 기계)를 썼냐고 묻자 “아마도 25~30% 정도가 프롬프터일 것이고 나머지는 애드리브”라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 “난 그냥 말한다. 연단에 올라 마이크 앞에 서면 이야기를 할 수 있는 편”이라고 했다.
트럼프 캠프는 당시 털사 유세에 100만명 이상이 참가 신청을 했다고 홍보했지만 당일 2만석 규모의 행사장 곳곳에 빈자리가 대거 눈에 띌 정도로 굴욕을 겪었다. 이를 두고 한류 팬들이 유세장 입장권을 대규모로 사전 예약한 뒤 실제로는 현장에 나타나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외신 보도가 나온 바 있다.
워싱턴 이경주 특파원 kdlrudw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