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폐지 줍는 노인부터 美 대형 재활용 업체까지…中 쓰레기 수입 중단 쇼크

홍콩 폐지 줍는 노인부터 美 대형 재활용 업체까지…中 쓰레기 수입 중단 쇼크

김규환 기자
입력 2017-12-05 22:32
수정 2017-12-06 01:2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쓰레기 수입 대국’ 중국이 재활용 폐기물 수입을 중단하는 바람에 해외 폐기물 업체들이 골머리를 앓고 있다.

뉴욕타임스(NYT) 등은 중국의 폐기물 수입 단속 결정 이후 미국 대형 재활용업체부터 홍콩의 폐지를 줍는 노인들에 이르기까지 폐기물 관련 종사자들이 ‘공황 상태’에 빠졌다고 최근 보도했다. 이들이 아시아 등 다른 지역에서 구매자를 찾기 위해 총력전을 펴지만 중국처럼 ‘큰손’을 찾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미 휴스턴 폐기물 재활용업체 웨이스트매니지먼트의 짐 피시 사장은 “중국이 하루아침에 수도꼭지를 잠근 것과 마찬가지”라며 중국의 수입 제한으로 폐지 가격이 3분의1 수준으로 곤두박질쳤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홍콩에서 폐지를 수집하는 류샤오쥔(劉小君·63)은 “더 많이 줍기 위해 아예 저녁을 굶고 있다”며 “5시간 꼬박 일해 봤자 한 달에 500달러(약 54만원) 벌기도 벅차다”고 한숨을 내쉬었다.

중국은 1990년대 들어 폐지와 폐플라스틱, 고철 등 각종 폐기물을 적극 매집했다. 이 폐기물을 재가공해 제조업에 필요한 자재나 연료를 얻기 위해서다. 중국이 지난해 수입한 폐기물은 180억 달러(약 19조 5000억원)어치에 이른다고 NYT가 전했다. 이 중 폐플라스틱만 해도 730만t으로 세계 수입량의 절반이 넘는다. 그러나 중국 정부는 지난 7월 건강과 환경보호 등을 내세워 올해 말까지 폐지 등 24종의 폐기물 수입을 전면 금지한다고 선언하며 단속에 나섰다. 경제 발전과 함께 제조업 설비를 교체하면서 폐기물 수요가 줄어드는 데다 환경오염을 부추기는 폐기물 산업을 용인하지 않겠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쓰레기 배출이 많은 미국과 일본 등은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특히 폐기물 물량 78%를 중국이 수출했던 미국이 가장 큰 타격을 받았다. 미국은 해마다 고철의 75%, 폐지의 60%, 폐플라스틱의 50%가 중국으로 향하는데, 이를 팔아 번 금액은 10억 달러대로 추산된다.

김규환 선임기자 khkim@seoul.co.kr

2017-12-06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