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강제연행’ 지우려는 日, 정부입장 담은 보조교재도 배포

‘위안부 강제연행’ 지우려는 日, 정부입장 담은 보조교재도 배포

입력 2017-05-09 10:53
수정 2017-05-09 10:5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관련 허위보도 취소 日매체 내용포함…오사카 고교 2만2천명 대상

일본 오사카부(大阪府) 교육청이 일본군의 위안부 강제연행과 관련해 최근 움직임과 일본 정부의 입장이 담긴 고교 일본사 보조교재를 인쇄해 배포하기로 했다고 산케이신문이 9일 보도했다.

이 보조교재에는 “전쟁 중 위안부로 삼기 위해 제주도에서 많은 여성을 무리하게 연행했다”고 증언한 요시다 세이지(吉田淸治·2000년 사망) 씨의 발언 등이 1980∼1990년대에 보도됐다가 그 이후 확인과정을 거쳐 해당 증언이 허위라고 판단해 2014년 8월 5일 관련 기사를 취소한 아사히신문의 관련 내용이 포함됐다.

오사카부 교육청은 이전에는 이런 내용의 보조교재를 수업 때 사용하라며 이메일로 학교측에 보냈으나 이번에는 아예 교육청 차원에서 인쇄해 해당 부립(府立) 95개교 2만2천명에게 나눠줄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 보조교재는 A4용지 8쪽 분량이다.

오사카부 교육청의 이런 태도는, 요시다씨 발언이 잘못된 것이라고 교육함으로써 사실상 일본군 위안부 강제연행이 없었다는 인식을 심으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다시 말해 적어도 요시다의 해당 발언이 허위일 수는 있으나 일본군 위안부 강제연행은 엄연한 역사적 사실인데도, 이를 호도하려는 목적으로 보조교재를 인쇄해 배포하려한다는 것이다.

오사카부 교육위원회는 2015년에도 보조교재를 작성해 154개 모든 부립 고등학교에 이메일 발송했으나 실제로 사용한 학교는 같은 해 26개교, 2016년 21개교 정도에 불과하자 아예 관련 보조교재를 인쇄해 배포키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우익 경향의 산케이신문은 “오사카부 의회 등에서 수업 진행에 상관없이 모든 학생에게 보조교재를 배포해야 한다는 지적이 일었다”고 전했다.

이에 오사카부 교육청은 아사히신문이 요시다 씨의 증언을 취소하기 전 검정에 합격하고 위안부 문제를 기재한 9종의 일본사 교과서를 사용하는 학생 전원에게 보조교재를 배포하기로 했다고 산케이신문은 보도했다.

보조교재 배포는 이달 중 완료될 예정이다.

송재혁 서울시의원, 서울 첫 자연휴양림 수락산 ‘수락휴(休)’ 개장…도시 숲 활성화 기여로 감사패 수상

수락산 동막골에 서울 도심 속 첫 자연휴양림 ‘수락휴(休)’(노원구 상계동 산153-1번지 일대)가 지난 17일 정식으로 문을 열었다. 서울시의회 송재혁 의원(민주당, 노원6)은 지난 15일, 노원구 수락산 자연휴양림 ‘수락휴’ 개장식에서 지역 사회 도시 숲 활성화와 자연휴양 환경개선에 기여한 공로로 감사패를 받았다. 수락휴는 9800㎡ 부지에 14m 높이 트리하우스 3개동을 비롯해 18개동 25개 객실과 레스토랑, 숲속 카페, 테마정원과 산책로 등을 자연 친화적으로 배치했다. 지하철 불암산역(4호선)에서 불과 1.6km 떨어진 곳에 있어 마을버스로도 찾아갈 수 있는 접근성이 가장 큰 강점이다. 매월 10일 오후 2시부터 산림청 ‘숲나들e 누리집(www.foresttrip.go.kr)’에서 다음 달 숙박 예약이 가능하다. 노원구민과 장애인은 10% 할인된 요금으로 매월 7일 오후 2시~9일 오후 6시에 우선 예약할 수 있다. 송 의원은 “이제 주말에 교통체증을 겪으며 교외로 멀리 나갈 필요 없이 쉽게 자연 속 휴식을 즐길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라며 “도심 속 자연공간에서 쉬며 몸과 마음을 치유하는, 도시와 자연이 공존하는 서울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다”
thumbnail - 송재혁 서울시의원, 서울 첫 자연휴양림 수락산 ‘수락휴(休)’ 개장…도시 숲 활성화 기여로 감사패 수상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