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싫다” 美캘리포니아서 ‘칼렉시트’ 움직임 다시 들썩

“트럼프 싫다” 美캘리포니아서 ‘칼렉시트’ 움직임 다시 들썩

입력 2016-11-10 16:12
수정 2016-11-10 16:1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민주당 텃밭서 ‘미국서 분리독립’ 주장 분출

미국 공화당의 도널드 트럼프가 지난 8일(현지시간) 대선에서 예상을 깨고 당선되자 민주당 텃밭인 캘리포니아주에서는 미국으로부터의 분리독립, 이른바 ‘칼렉시트’(Calexit) 움직임이 재점화하고 있다.

9일 미 시사주간지 타임과 경제전문매체 비즈니스 인사이더 등에 따르면 트럼프가 승리한 직후 소셜미디어에는 ‘칼렉시트’를 촉구하는 일부 캘리포니아 주민들의 목소리가 쏟아져 나왔다.

‘칼렉시트’는 ‘캘리포니아’(California)와 ‘탈퇴’(Exit)를 합친 말로, 미국으로부터의 캘리포니아 분리독립을 뜻한다.

원래는 캘리포니아 독립을 목표로 2015년 창당한 ‘캘리포니아 국민당’이 추진한 비주류 정치운동이었으나, 지난 6월 영국의 유럽연합(EU) 탈퇴, ‘브렉시트’(Brexit)를 결정한 국민투표를 계기로 가속화했다.

이어 이번에 트럼프가 당선되자 소셜미디어를 통해 다시금 빠르게 번지고 있는 것이다.

캘리포니아는 이번 대선에서 유권자의 61.5%가 클린턴을 지지했다.

트위터에는 ‘칼렉시트’(Calexit), ‘캘리브포니아’(Caleavefornia) 등의 해시태그(#)와 함께 ‘칼렉시트’를 주장하는 글들이 이어지고 있다.

“더이상 나 자신을 미국인이라고 부르지 않을 것, 나는 캘리포니언이다‘ 등 이번 선거 결과에 대한 불만을 표출하는 차원의 글은 물론 좀 더 진지하게 접근하는 이들도 있다.

차량공유서비스업체인 우버의 초기 투자가이기도 한 유명 벤처투자가 셔빈 피셔버는 선거 전 트위터에 ”만약 트럼프가 이긴다면 나는 캘리포니아만의 국가를 만들기 위한 합법적 운동에 자금을 댈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선거 이후인 9일 CNBC 인터뷰에서 이 같은 의사를 거듭 확인한 뒤 ”이것은 내가 할 수 있는 가장 애국적인 일“이라면서 ”이 나라는 심각한 기로에 서 있다“고 말했다.

피셔버 외에도 소셜네트워크서비스 ’패스‘ 공동창업자인 데이브 모린, 디자인Inc. 창업자 마크 헤미언 등 실리콘 밸리의 다른 사업가들도 트위터를 통해 지지를 보냈다.

피셔버를 비롯해 ’칼렉시트‘를 주장하는 이들은 캘리포니아가 인구면에서 3천900만 명으로 미국 주 가운데 가장 많은 데다 국내총생산(GDP) 기준으로 볼 때 세계 6번째 경제국에 해당하는 규모이기 때문에 독립 국가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 같은 목소리는 온라인을 넘어 오프라인으로까지 뻗어 나오고 있다.

’칼렉시트‘를 지지하는 캘리포니아 주민들은 이날 새크라멘토 의회 계단에 모일 예정이다.

김현기 서울시의원 “판자촌 구룡마을, 집중호우에도 올해 비 피해 전혀 없어”

강남구 개포동 567-1 대모산과 구룡산 사이에 위치한 구룡마을, 매년 2개 산에서 밀려오는 급류로 수해 현장의 대명사였지만 올해는 비 피해가 전혀 없음이 확인됐다. 구룡마을은 1107세대가 거주하는 서울 최대의 판자촌이지만 최근 개발 계획에 따라 751세대가 이주하고 아직도 361세대가 거주 중인 대표적 달동네다. 그러나 평소 겨울 내내 발생한 대량의 연탄재 등 각종 생활 쓰레기와 폐가구 등이 하천에 버려지고, 특히 이주한 빈집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이 개천에 방치되어 물의 흐름을 방해했고, 이들 쓰레기가 양재대로 지하통로로 연결되는 우수관로를 차단하여 해마다 범람하는 등 큰 피해를 발생시켰었다. 특히 2023년에는 양재대로 지하연결 하천 통로가 막혀 하천의 급류가 범람해 거주지역을 덮쳐 150여 명의 이재민이 발생했었고, 70대 노인이 극적으로 구조된 바 있었다. 올해에는 이를 사전 예방하기 위해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SH, 사장 황상하)와 강남구가 협업해 지난 6월 28일부터 7월 8일까지 13일간 벌개제근 및 예초작업 3400㎡, 개수로 준설 및 운반처리 620㎥, 폐기물 50㎥를 처리했다. 이러한 조치로 최근 발생한 집중호우에도 예년과 달리 구
thumbnail - 김현기 서울시의원 “판자촌 구룡마을, 집중호우에도 올해 비 피해 전혀 없어”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