풋볼팀 선수들 NCAA 대항전 불참 선언이 결정타
학내 인종차별을 조장했다고 비판받던 팀 울프 미국 미주리대 총장이 9일(현지시간) 사퇴 의사를 밝혔다. 몇 달 동안 지속된 학내 총장 퇴진 소요에도 버텼지만, 대학 이사회가 소집되자 회의 시작 직전 사의를 밝혔다.울프 총장은 지난 4월 이후 교내 소수 인종에게 가해진 폭력 사건을 무성의하게 조사했다는 이유로 퇴진 압력을 받아왔다. 백인 학생 83%, 흑인 8%로 구성된 이 학교는 지난해 항복 의사를 밝혔음에도 경찰관에게 사살당한 마이클 브라운 사건이 벌어졌던 퍼거슨시와 가깝다.
기업인 출신 울프 총장은 다각도 사퇴 압박을 받아왔다. 특히 ‘1950’이라 지칭한 학생 조직이 울프 총장 퇴진 운동을 주도했는데, 1950은 이 학교가 최초로 흑인에게 문호를 개방한 해를 상징한다. 교수들과 학생들이 동참해 수업거부, 교직원 출근거부 운동을 벌였고, 최근엔 대학원 학생 한 명이 울프 총장 퇴진을 요구하며 일주일 이상 단식 농성에 들어갔다. 풋볼팀 선수 30여명이 총장 퇴진을 촉구하며 대학 풋볼(NCAA) 대항전 불참을 선언한 게 울프 총장의 퇴진 결정에 결정타가 됐다. 지역 정치권도 울프 총장의 퇴진을 종용했다고 한다.
울프 총장은 사퇴 성명에서 “전적으로 책임을 지고 물러난다”면서도 “지난 4월 이후 변화를 위해 노력해 왔다”고 뒤끝을 남겼다. 그러나 미주리대 콜럼비아 캠퍼스 학생들은 사퇴 성명에 서로 얼싸안고 환호하는 방식으로 울프 총장의 사퇴를 받아 들였다.
홍희경 기자 saloo@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