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발 여론이 관건
사우디아라비아 정부가 유류 보조금 삭감 카드를 놓고 고심 중이라고 CNN이 27일 보도했다. 저유가가 장기화되며 원유 수출국인 사우디 재정이 위태롭기 때문이지만, 유류 보조금을 삭감할 경우 기름값이 오르게 돼 여론의 반발이 예상된다.CNN은 “아직 보조금 삭감 결정을 내린 것은 아니지만 연구 중”이라는 사우디 정부 관리의 말을 인용, 사상 처음으로 사우디 정부가 유류 보조금을 조정할 수 있다고 전했다. 이는 앞서 국제통화기금(IMF)이 사우디 정부에 요청한 사안과 상통하는 조치인데, IMF는 최근 보고서에서 “국제유가가 배럴당 50달러 선에 계속 머무른다면 사우디, 오만, 바레인 등 중동 산유국들이 한꺼번에 5년 이내 현금고갈 사태를 맞게 될 것”이라며 유류 보조금 재고를 권고했다. 사우디 균형재정을 맞추기 위해 IMF가 점친 적정 국제유가 수준은 배럴당 106달러로 현재 저유가 상황에서 단기간 달성되리라 전망하기 어려운 수준이다.
유류 보조금 덕분에 사우디 운전자들은 유럽 평균 휘발유 가격의 10%도 안되는 싼 비용을 부담해왔다. IMF는 지난해 보고서에서 “사우디 정부가 휘발유, 경유, 전기, 천연가스 보조금으로 GDP의 10%에 달하는 600억 달러를 쓰고 있다”고 지적했다.
홍희경 기자 saloo@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