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정합의 이뤄진 듯…제재 해제시점도 변수
이란과 주요 6개국(유엔 안전보장이사회 5개 상임이사국+독일)은 13일(현지시간) 오스트리아 빈에서 13년 만에 이란 핵협상 최종 타결을 시도한다.목표 시한을 세 번이나 넘기며 진통을 거듭해왔지만, 최종 마감일로 정한 이날만큼은 어느 때보다 타결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전날 빈에 도착한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과 왕이(王毅) 중국 외교부장, 이날 복귀 예정인 필립 해먼드 영국 외무장관까지 7개국 외교수장이 전부 협상장에 모인다는 점도 이런 전망에 무게를 싣고 있다.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은 라브로프 장관, 로랑 파비우스 프랑스 외교 장관 등 관련국 외교장관들과 전날 만찬을 함께 하며 합의안을 조율한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이란과 서방은 전날 밤 100여쪽 분량의 잠정 합의안을 만들었다고 AP통신이 복수의 외교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최종 합의안이 만들어지면 이날 중 관련국 외교 당국의 검토를 거쳐 정식 발표될 예정이다.
신화통신은 최종 결과를 발표하는 기자회견을 준비 중이며, 오스트리아 정부도 별도의 기념행사를 마련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AFP 통신 등에 따르면 하산 로하니 이란 대통령은 “우리는 먼 길을 왔고 이제 정점에 도달할 필요가 있다. 거의 다 왔다”라고 말했고, 파비우스 프랑스 외교장관도 “우리가 마침내 이번 마라톤 협상의 최종 단계에 진입한 것으로 믿는다”며 기대감을 부풀렸다.
그러나 이란에 대한 국제사회의 제재 해제 시점과 유엔의 재래식 무기 금수조치에 대해 막판까지 이견이 남아있어 결과를 속단하기 어렵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이란은 재래식 무기 금수조치도 핵 관련 제재의 일부인 만큼 핵협상 타결 6개월 뒤부터 금수조치를 풀어야 한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서방 측은 재래식 무기 금수조치 해제에 부정적인 데다 대(對) 이란 제재를 핵협상 타결 후에도 상당 기간 유지해야 한다는 입장을 가진 것으로 보인다. 한 소식통은 이란의 핵기술 수입 제한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안에 포함된 대 이란 제재의 해제 시점을 4년 뒤로 잡고 있다고 AP통신에 전했다.
독일의 한 외교 관계자는 AFP통신과의 인터뷰에서 “협상이 실패할 가능성도 여전히 있다”고 말했다.
이날 타결이 이뤄지더라도 미국 의회의 관문을 넘기가 수월하지 않을 전망이다. 상하원을 모두 장악한 공화당이 버락 오바마 정부의 합의안을 호락호락 통과시켜주지 않겠다는 방침을 정했기 때문이다.
미치 매코널(켄터키) 공화당 상원 원내대표는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이번 협상은 오바마 행정부의 강매가 될 것”이라며 의회 승인을 얻기 힘들 것이라고 엄포를 놨다.
한편, 핵협상 타결로 이란에 대한 경제제재 해제 전망이 높아지면서 이날 국제 원유가격이 일제히 하락했다.
미국 원유가격은 전날보다 배럴당 83센트 하락한 51.89달러를, 브렌트유는 1달러 이상 하락한 57.65달러를 각각 기록했다. 전문가들은 미국 원유가격이 협상 타결 후 배럴당 49.5달러까지 떨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