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서 최장 40년 이상 묵은 냉동식품이 밀수돼 시중에 유통된 것으로 나타나 파장이 일고 있다.
중국 북경신보(北京晨報)는 후난(湖南)성 창사(長沙)해관(세관)이 이달 소고기, 오리목살, 닭발 등 냉동식품 800t 1천만 위안(약 18억원) 어치를 밀수한 2개 조직을 적발해 조사하는 과정에서 이런 사실을 밝혀냈다고 24일 보도했다.
당국은 압수한 밀수품 가운데 만든 지 30∼40년이 지난 제품이 포함돼 있고, 심지어 겉면에 표시된 생산일자가 1970년대로 적혀 있는 경우도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생산된 뒤 오랜 기간이 지난 냉동식품의 경우는 유통과정에서 얼었다녹았다를 반복하면서 세균이 번식하기 용이하기 때문에 인체에 위해를 가할 수 있다는 것이다.
밀수업자들은 이처럼 품질을 보장할 수 없는 밀수 냉동 육류제품을 일컫는 ‘강시육’(강<人변에 畺>屍肉)을 인터넷을 통해 전국 도매상점이나 노점, 식당 등은 물론 슈퍼마켓 등에도 버젓이 유통시킨 것으로 조사됐다.
중국 매체들은 이런 소식을 전하며 냉동식품 구입시 지나치게 싼 제품에 대한 신중한 판단, 생산일과 보증기간 확인, 정규 매장 이용 등을 주의사항으로 제시했다.
하지만 중국 누리꾼들은 “믿기 어렵다”거나 “유통됐으면 이미 늦었다”고 놀라움을 표하면서 당국의 엄정한 처벌을 요구했다. 일부는 “사형에 처해야 한다”는 격한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연합뉴스
중국 북경신보(北京晨報)는 후난(湖南)성 창사(長沙)해관(세관)이 이달 소고기, 오리목살, 닭발 등 냉동식품 800t 1천만 위안(약 18억원) 어치를 밀수한 2개 조직을 적발해 조사하는 과정에서 이런 사실을 밝혀냈다고 24일 보도했다.
당국은 압수한 밀수품 가운데 만든 지 30∼40년이 지난 제품이 포함돼 있고, 심지어 겉면에 표시된 생산일자가 1970년대로 적혀 있는 경우도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생산된 뒤 오랜 기간이 지난 냉동식품의 경우는 유통과정에서 얼었다녹았다를 반복하면서 세균이 번식하기 용이하기 때문에 인체에 위해를 가할 수 있다는 것이다.
밀수업자들은 이처럼 품질을 보장할 수 없는 밀수 냉동 육류제품을 일컫는 ‘강시육’(강<人변에 畺>屍肉)을 인터넷을 통해 전국 도매상점이나 노점, 식당 등은 물론 슈퍼마켓 등에도 버젓이 유통시킨 것으로 조사됐다.
중국 매체들은 이런 소식을 전하며 냉동식품 구입시 지나치게 싼 제품에 대한 신중한 판단, 생산일과 보증기간 확인, 정규 매장 이용 등을 주의사항으로 제시했다.
하지만 중국 누리꾼들은 “믿기 어렵다”거나 “유통됐으면 이미 늦었다”고 놀라움을 표하면서 당국의 엄정한 처벌을 요구했다. 일부는 “사형에 처해야 한다”는 격한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