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은행(BOC)이 아시아 은행 중 처음으로 영국의 ‘런던 금가격지수(London gold fix)’ 결정에 참여하게 됐다고 북경청년보 인터넷판이 17일 보도했다.
이 신문은 중국은행 보도자료를 인용해 1919년 이후 약 100년 만인 올 3월 개편된 런던의 금 기준가 산정 기구에 참여한다고 보도했다. 이로써 국제 금 거래가의 기준이 되는 런던 금 기준가 산정에 참여하는 은행은 UBS AG, 바클레이, 골드만삭스, HSBC, JP모건 체이스, 소시에테제네랄, 노바스코샤은행(캐나다) 등 8개로 늘어났다.
쑨위(孫煜) 중국은행 런던지점 총경리(지점장)는 “세계 최대 금 생산국이자 소비국이면서도 그동안 금값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해오지 못했다”며 “중국은행의 참여로 중국과 세계 금 시장 간 상호 연계가 순조롭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런던 시장의 금 가격은 그동안 바클레이즈, 도이체방크, HSBC, 소시에테제네랄, 노바스코샤뱅크 등 5개 은행이 매일 오전과 오후, 두 차례 전화회의를 열어 결정해왔다.
그러던 중 2012년 영국은행 바클레이스의 리보(Libor·영국 런던은행 간 금리) 조작에 이어 은행들 간 금·은 가격 조작 의혹이 제기돼 미국 정부가 조사에 나서자 도이체방크는 가격 결정에 불참하기로 했다.
런던귀금속협회(LBMA)는 이후 신뢰 회복을 위한 시스템 개편 작업을 해왔다. 중국은 작년 9월 상하이 자유무역구역(FTZ)에 위안화로 거래와 결제가 이뤄지는 상하이금거래소(SGE)를 설립, 금 거래 중심지로 발돋움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미국의 월스트리트 저널은 16일(현지 시간) 중국의 국제 금시장내 입지 강화는 물론 세계금융시장에서 중국의 영향력도 한층 높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인도와 함께 세계 최대 금 소비국 경쟁을 벌이고 있는 중국의 참여로 금 가격 결정 과정의 투명성도 높아질 것으로 이 신문은 보고 있다.
중국의 현재 금 소비량은 자국 생산량의 3배에 달해 세계 최대 금 수입국이 됐다. 이런 점을 들어 전문가들은 중국이 현재 금값 결정에 특별한 영향력을 행사하지 않고 있음에도 최근 국제 금값이 중국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해왔다고 보고 있다.
일례로 중국 증시의 활황세로 금 수요자들이 증시로 발걸음을 돌리면서 지난 1분기의 세계 금 수요는 약1% 감소했다.
연합뉴스
이 신문은 중국은행 보도자료를 인용해 1919년 이후 약 100년 만인 올 3월 개편된 런던의 금 기준가 산정 기구에 참여한다고 보도했다. 이로써 국제 금 거래가의 기준이 되는 런던 금 기준가 산정에 참여하는 은행은 UBS AG, 바클레이, 골드만삭스, HSBC, JP모건 체이스, 소시에테제네랄, 노바스코샤은행(캐나다) 등 8개로 늘어났다.
쑨위(孫煜) 중국은행 런던지점 총경리(지점장)는 “세계 최대 금 생산국이자 소비국이면서도 그동안 금값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해오지 못했다”며 “중국은행의 참여로 중국과 세계 금 시장 간 상호 연계가 순조롭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런던 시장의 금 가격은 그동안 바클레이즈, 도이체방크, HSBC, 소시에테제네랄, 노바스코샤뱅크 등 5개 은행이 매일 오전과 오후, 두 차례 전화회의를 열어 결정해왔다.
그러던 중 2012년 영국은행 바클레이스의 리보(Libor·영국 런던은행 간 금리) 조작에 이어 은행들 간 금·은 가격 조작 의혹이 제기돼 미국 정부가 조사에 나서자 도이체방크는 가격 결정에 불참하기로 했다.
런던귀금속협회(LBMA)는 이후 신뢰 회복을 위한 시스템 개편 작업을 해왔다. 중국은 작년 9월 상하이 자유무역구역(FTZ)에 위안화로 거래와 결제가 이뤄지는 상하이금거래소(SGE)를 설립, 금 거래 중심지로 발돋움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미국의 월스트리트 저널은 16일(현지 시간) 중국의 국제 금시장내 입지 강화는 물론 세계금융시장에서 중국의 영향력도 한층 높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인도와 함께 세계 최대 금 소비국 경쟁을 벌이고 있는 중국의 참여로 금 가격 결정 과정의 투명성도 높아질 것으로 이 신문은 보고 있다.
중국의 현재 금 소비량은 자국 생산량의 3배에 달해 세계 최대 금 수입국이 됐다. 이런 점을 들어 전문가들은 중국이 현재 금값 결정에 특별한 영향력을 행사하지 않고 있음에도 최근 국제 금값이 중국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해왔다고 보고 있다.
일례로 중국 증시의 활황세로 금 수요자들이 증시로 발걸음을 돌리면서 지난 1분기의 세계 금 수요는 약1% 감소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