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미국을 방문한 지금이야말로 일본이 일본군위안부 피해자들에게 사과할 때라고 찰스 랭글(민주·뉴욕) 하원의원이 촉구했다.
랭글 의원은 27일(현지시간) USA투데이 기고문에서 “역사적인 (상하 양원 합동) 연설에서 아베 총리가 단순히 우리(미일 양국)의 강한 동맹을 강조할 뿐 아니라 1945년 이전에 치유할 수 없는 피해와 상처를 입은 여성들에 대한 정의를 실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국전 참전용사 출신으로 ‘지한파’로 꼽히는 랭글 의원은 “윈스턴 처칠이나 넬슨 만델라 같은 세계 주요 지도자들이 미국의 의회 합동연설을 통해 전 세계에 평화를 가져오도록 촉구했고, 아베 총리도 그렇게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그는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이 ‘강요된 성노예’로 칭했던 군위안부 여성들의 고통과 고난을 (아베 총리가) 인정한다면 중요한 의미를 가질 것”이라고 말했다.
2007년 미국 하원에서 ‘군위안부 결의안’이 통과됐을 때 일본 정부가 공식으로 사과하지 않았다고 지적한 랭글 의원은 “아베 총리가 이런 인권침해 사례를 언급하면 군위안부 피해자들의 고통이 실재함을 인정하는 것은 물론 (동북아시아) 지역에서 인권과 평화를 위해 기여하겠다는 일본의 의지를 전 세계에 보내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미국 하원에서 군위안부 피해를 증언한 이용수 할머니를 “여러 번 만났으며, 그의 생존 과정에 깊은 감명을 받았다”고 덧붙였다.
랭글 의원은 지난 23일 미국 연방의원 25명이 연명으로 아베 총리에게 과거사를 사과하라는 내용의 서한을 발표할 때 동참했다.
연합뉴스
랭글 의원은 27일(현지시간) USA투데이 기고문에서 “역사적인 (상하 양원 합동) 연설에서 아베 총리가 단순히 우리(미일 양국)의 강한 동맹을 강조할 뿐 아니라 1945년 이전에 치유할 수 없는 피해와 상처를 입은 여성들에 대한 정의를 실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국전 참전용사 출신으로 ‘지한파’로 꼽히는 랭글 의원은 “윈스턴 처칠이나 넬슨 만델라 같은 세계 주요 지도자들이 미국의 의회 합동연설을 통해 전 세계에 평화를 가져오도록 촉구했고, 아베 총리도 그렇게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그는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이 ‘강요된 성노예’로 칭했던 군위안부 여성들의 고통과 고난을 (아베 총리가) 인정한다면 중요한 의미를 가질 것”이라고 말했다.
2007년 미국 하원에서 ‘군위안부 결의안’이 통과됐을 때 일본 정부가 공식으로 사과하지 않았다고 지적한 랭글 의원은 “아베 총리가 이런 인권침해 사례를 언급하면 군위안부 피해자들의 고통이 실재함을 인정하는 것은 물론 (동북아시아) 지역에서 인권과 평화를 위해 기여하겠다는 일본의 의지를 전 세계에 보내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미국 하원에서 군위안부 피해를 증언한 이용수 할머니를 “여러 번 만났으며, 그의 생존 과정에 깊은 감명을 받았다”고 덧붙였다.
랭글 의원은 지난 23일 미국 연방의원 25명이 연명으로 아베 총리에게 과거사를 사과하라는 내용의 서한을 발표할 때 동참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