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중국의 분쟁도서 석유 시추로 촉발된 베트남과 중국의 분쟁이 날로 격화되면서 향후의 사태 추이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베트남은 최근 중국이 파라셀 군도(베트남명 호앙사, 중국명 시사군도) 부근 해역에서 석유 시추를 강행하는 과정에서 중국 선박들이 연안경비대 초계함들을 들이받아 8척이 부서지고 6명이 부상했다며 관련 영상을 공개했다.
중국 정부 역시 베트남 초계함이 3일 이래 171차례나 자국 선박들을 들이받았다며 반격에 나서는 형국이다.
관측통들은 중국의 분쟁도서 시추 작업이 해당 지역에 대한 자국의 영유권 주장을 재천명하고 베트남의 방어 역량과 의지를 시험하려는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또 파라셀 군도 일대에서 자유로운 항해 보장을 주장하는 미국 정부의 대응을 떠본다는 다목적 포석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일각에서는 지난해 6월 쯔엉 떤 상 베트남 국가주석의 베이징 방문을 계기로 ‘불안한 평화’를 유지하던 양국 관계가 다시 경색되고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상 주석은 당시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정상회담에서 남중국해 분쟁의 평화적 해결 원칙을 천명하고 공동순찰 등 상호 협력을 강화하기로 합의했다.
◇ 베트남·중국 ‘극한 대치’…긴장 수위 급상승 = 베트남과 중국 선박들은 파라셀 군도 주변해역에서 7일에 이어 8일에도 대치, 긴장이 이어졌다.
베트남 연안경비대는 이날 “분쟁도서 파라셀 군도 주변의 전반적인 상황이 어제와 똑같다”면서 양측 선박들의 대치가 여전히 계속되고 있다고 밝혔다고 교도통신이 전했다.
이에 앞서 지난 7일에는 중국 선박들이 고의로 베트남 초계함을 들이받고 물대포를 발사해 선박들이 파손되고 6명이 다쳤다고 베트남 측은 주장했다.
베트남은 당시의 충돌 상황을 담은 영상자료를 공개하고 중국 측에 즉각적인 철수를 요구했다.
특히 응오 응옥 트 연안경비대 부사령관은 앞으로도 전력을 기울여 작전을 수행할 태세가 돼 있다며 양측의 대치상태가 장기화할 것임을 시사했다. 중국이 시추 장비 보호를 명목으로 베트남 수역을 침입, 자국 선박에 계속 피해를 안겨주면 똑같이 대응할 것이라는 경고도 덧붙였다.
이에 대해 중국은 베트남 초계정이 지난 3일 이래 최근까지 모두 171차례나 중국 선박들을 들이받았다며 베트남 측의 주장을 일축했다.
중국 외교부는 “중국 측이 전혀 도발을 하지 않았다”면서 “도발을 하는 것은 바로 베트남”이라고 비난했다.
외교부는 그러나 이를 뒷받침하는 구체적인 증거는 제시하지 않았다.
◇ 중국의 석유 시추 작업은 “다목적 포석” = 최근 중국의 분쟁도서 석유 시추를 둘러싼 분쟁이 가열되자 일각에서는 중국의 이번 조치에 적잖은 전략적 의도가 담겨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관측통들은 중국이 이번 시추 활동과 관련해 장기적인 석유탐사 프로그램에 따라 진행되는 통상적인 작업이라면서 굳이 버락 오바마 미 대통령의 아시아 순방이 끝난 직후에 본격적인 작업에 나선 사실에 주목하고 있다.
오바마 대통령은 최근 필리핀 등 아시아 순방 기간에 중국의 남중국해 영유권 공세를 비난하고 동중국 분쟁에서도 일본을 지지한다는 종전의 입장을 재확인했다.
미국의 ‘아시아 재균형전략(rebalancing)’을 경계하는 중국으로서는 오바마 대통령의 당시 발언에 적잖은 거부감을 느낀 것으로 관측통들은 보고 있다.
이들 관측통은 특히 중국의 이번 조치가 10일 미얀마에서 개막되는 아세안(동남아국가연합) 정상회담을 앞두고 시작된 데 대해서도 의심의 눈길을 보내고 있다.
아세안에는 특히 영유권 분쟁 상대인 베트남과 필리핀이 회원국으로 참여하고 있어 어떤 형태로든 남중국해 분쟁이 주요 의제로 다뤄질 것으로 이들 관측통은 보고 있다. 중국은 그동안 남중국해 분쟁과 관련한 아세안 차원의 집단 대응을 우려, 전통 우방인 캄보디아를 앞세워 내부 분열을 부추긴 것으로 알려졌다.
◇ 미국 “영유권 분쟁, 국제법으로 해결해야”…베트남에 지지 표명 = 미국 정부는 표면적으로는 분쟁 당사국들에 자제력을 발휘해 달라고 호소하는 등 중립적인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하노이를 방문 중인 대니얼 러셀 미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는 8일 베트남과 중국이 상호 자제, 사태를 평화적으로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고 AP통신이 전했다.
러셀 차관보는 이날 기자들에게 국제경제 상황이 매우 취약한 상황이어서 분쟁 여파를 견뎌내기 어려울 것이라는 의견도 덧붙였다.
그러나 구체적인 분쟁 해결 방안과 관련해서는 국제법을 통한 사태 해결을 지지한다며 사실상 베트남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다.
미국 내 친베트남 인사인 존 매케인 미 상원 의원도 중국이 분쟁도서 석유시추를 통해 고의로 긴장을 고조시키고 있다며 중국 정부를 강도 높게 비난했다.
매케인 의원은 워싱턴에서 발표한 성명에서 “중국이 베트남 해역에서 석유시추에 나서고 이를 위해 수많은 선박을 배치한 것은 남중국해에서의 긴장만 초래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아울러 “해당 도서에 대한 중국의 영유권 주장은 국제법상 아무런 근거도 없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베트남은 최근 중국이 파라셀 군도(베트남명 호앙사, 중국명 시사군도) 부근 해역에서 석유 시추를 강행하는 과정에서 중국 선박들이 연안경비대 초계함들을 들이받아 8척이 부서지고 6명이 부상했다며 관련 영상을 공개했다.
중국 정부 역시 베트남 초계함이 3일 이래 171차례나 자국 선박들을 들이받았다며 반격에 나서는 형국이다.
관측통들은 중국의 분쟁도서 시추 작업이 해당 지역에 대한 자국의 영유권 주장을 재천명하고 베트남의 방어 역량과 의지를 시험하려는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또 파라셀 군도 일대에서 자유로운 항해 보장을 주장하는 미국 정부의 대응을 떠본다는 다목적 포석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일각에서는 지난해 6월 쯔엉 떤 상 베트남 국가주석의 베이징 방문을 계기로 ‘불안한 평화’를 유지하던 양국 관계가 다시 경색되고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상 주석은 당시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정상회담에서 남중국해 분쟁의 평화적 해결 원칙을 천명하고 공동순찰 등 상호 협력을 강화하기로 합의했다.
◇ 베트남·중국 ‘극한 대치’…긴장 수위 급상승 = 베트남과 중국 선박들은 파라셀 군도 주변해역에서 7일에 이어 8일에도 대치, 긴장이 이어졌다.
베트남 연안경비대는 이날 “분쟁도서 파라셀 군도 주변의 전반적인 상황이 어제와 똑같다”면서 양측 선박들의 대치가 여전히 계속되고 있다고 밝혔다고 교도통신이 전했다.
이에 앞서 지난 7일에는 중국 선박들이 고의로 베트남 초계함을 들이받고 물대포를 발사해 선박들이 파손되고 6명이 다쳤다고 베트남 측은 주장했다.
베트남은 당시의 충돌 상황을 담은 영상자료를 공개하고 중국 측에 즉각적인 철수를 요구했다.
특히 응오 응옥 트 연안경비대 부사령관은 앞으로도 전력을 기울여 작전을 수행할 태세가 돼 있다며 양측의 대치상태가 장기화할 것임을 시사했다. 중국이 시추 장비 보호를 명목으로 베트남 수역을 침입, 자국 선박에 계속 피해를 안겨주면 똑같이 대응할 것이라는 경고도 덧붙였다.
이에 대해 중국은 베트남 초계정이 지난 3일 이래 최근까지 모두 171차례나 중국 선박들을 들이받았다며 베트남 측의 주장을 일축했다.
중국 외교부는 “중국 측이 전혀 도발을 하지 않았다”면서 “도발을 하는 것은 바로 베트남”이라고 비난했다.
외교부는 그러나 이를 뒷받침하는 구체적인 증거는 제시하지 않았다.
◇ 중국의 석유 시추 작업은 “다목적 포석” = 최근 중국의 분쟁도서 석유 시추를 둘러싼 분쟁이 가열되자 일각에서는 중국의 이번 조치에 적잖은 전략적 의도가 담겨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관측통들은 중국이 이번 시추 활동과 관련해 장기적인 석유탐사 프로그램에 따라 진행되는 통상적인 작업이라면서 굳이 버락 오바마 미 대통령의 아시아 순방이 끝난 직후에 본격적인 작업에 나선 사실에 주목하고 있다.
오바마 대통령은 최근 필리핀 등 아시아 순방 기간에 중국의 남중국해 영유권 공세를 비난하고 동중국 분쟁에서도 일본을 지지한다는 종전의 입장을 재확인했다.
미국의 ‘아시아 재균형전략(rebalancing)’을 경계하는 중국으로서는 오바마 대통령의 당시 발언에 적잖은 거부감을 느낀 것으로 관측통들은 보고 있다.
이들 관측통은 특히 중국의 이번 조치가 10일 미얀마에서 개막되는 아세안(동남아국가연합) 정상회담을 앞두고 시작된 데 대해서도 의심의 눈길을 보내고 있다.
아세안에는 특히 영유권 분쟁 상대인 베트남과 필리핀이 회원국으로 참여하고 있어 어떤 형태로든 남중국해 분쟁이 주요 의제로 다뤄질 것으로 이들 관측통은 보고 있다. 중국은 그동안 남중국해 분쟁과 관련한 아세안 차원의 집단 대응을 우려, 전통 우방인 캄보디아를 앞세워 내부 분열을 부추긴 것으로 알려졌다.
◇ 미국 “영유권 분쟁, 국제법으로 해결해야”…베트남에 지지 표명 = 미국 정부는 표면적으로는 분쟁 당사국들에 자제력을 발휘해 달라고 호소하는 등 중립적인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하노이를 방문 중인 대니얼 러셀 미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는 8일 베트남과 중국이 상호 자제, 사태를 평화적으로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고 AP통신이 전했다.
러셀 차관보는 이날 기자들에게 국제경제 상황이 매우 취약한 상황이어서 분쟁 여파를 견뎌내기 어려울 것이라는 의견도 덧붙였다.
그러나 구체적인 분쟁 해결 방안과 관련해서는 국제법을 통한 사태 해결을 지지한다며 사실상 베트남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다.
미국 내 친베트남 인사인 존 매케인 미 상원 의원도 중국이 분쟁도서 석유시추를 통해 고의로 긴장을 고조시키고 있다며 중국 정부를 강도 높게 비난했다.
매케인 의원은 워싱턴에서 발표한 성명에서 “중국이 베트남 해역에서 석유시추에 나서고 이를 위해 수많은 선박을 배치한 것은 남중국해에서의 긴장만 초래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아울러 “해당 도서에 대한 중국의 영유권 주장은 국제법상 아무런 근거도 없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