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명품매장 “홍콩인은 매장 사진 찍지마”

홍콩 명품매장 “홍콩인은 매장 사진 찍지마”

입력 2012-01-09 00:00
수정 2012-01-09 11:1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홍콩에 있는 이탈리아 패션 브랜드 ‘돌체 앤 가바나’(D&G) 매장이 홍콩인들의 매장 외관 사진 촬영을 금지해 논란이 일고 있다.

9일 홍콩 언론들에 따르면 이 논란은 홍콩 침사추이 캔톤로드에 있는 D&G 매장 경비원이 지난주 한 행인이 매장 앞에서 사진을 찍자 이를 제지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시작됐다.

이 경비원은 또 중국 본토인만이 매장 앞에서 사진을 찍을 수 있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사실이 알려지자 지난 6일부터 페이스북을 중심으로 이에 항의하는 목소리가 모였다.

홍콩의 의회 격인 입법회 의원 6명이 7일 D&G 매장에서 사과를 요구하며 항의 시위를 벌인 데 이어 8일에는 입법회의 관광분과 의원을 비롯해 시민 1천여명이 매장 앞에서 시위를 벌였다. 시위가 벌어지자 매장 측은 8일 하루 문을 닫았다.

홍콩의 유력한 차기 행정장관 후보인 헨리 탕도 매장 사진을 찍는 것은 호감의 표시로 받아들여야 한다면서 사람들이 매장 사진을 찍는 것을 반겨야 한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D&G측은 언론에 보도된 ‘논란이 된 발언’은 자사 직원이 한 게 아니라고 해명했다.

홍콩인들은 이번 일이 자유를 침해했고 홍콩인들을 차별한 것이라며 불쾌하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8일 시위에 참가한 한 교사는 “이는 명백하게 홍콩인들을 차별하는 것”이라고 주장했고 아버지를 따라 시위에 참가한 13살 소년은 “모든 사람이 평등하게 태어났는데 왜 이 매장은 중국 본토인만을 환영하느냐”며 “홍콩인들에게 사과해야 한다”며 목소리를 높였다.

이번 일을 두고 이른바 ‘명품’ 매장과 대기업에 대한 일부 홍콩인들의 반감이 표출된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홍콩 중문대 사회학과의 찬 킨-만 부교수는 “많은 사람이 시위에 참여한 것은 일부 홍콩인들이 명품 브랜드에 대해 불만을 느끼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 것”이라면서 “또 점차 많은 홍콩 기업들이 중국 본토에서 온 쇼핑객들에게 의존하게 되면서 홍콩인들에 대한 차별적 태도를 취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고 분석했다.

연합뉴스

박성연 서울시의원 “서울시의회와 하노이 재향군인회 간 우의 다지는 뜻깊은 자리 마련”

서울시의회 박성연 의원(국민의힘, 광진2)은 지난 28일 서울시의회에서 열린 ‘하노이시 재향군인회 및 서울시 재향군인회 초청 환담 행사’에 운영위원회 부위원장 자격으로 참석해 환영 인사를 전했다. 이번 행사는 서울시의회와 베트남 하노이시 재향군인회 간 교류를 통해 양 도시 간 우의를 증진하고, 재향군인회를 중심으로 안보 의식을 공유하기 위해 마련된 자리로, 하노이시 재향군인회 임직원과 서울시 재향군인회 회장단 등 40여 명이 참석했다. 박 의원은 인사말을 통해 “무더운 날씨에도 서울시의회를 찾아주신 하노이시 재향군인회 여러분을 진심으로 환영한다”라며 “안보와 헌신의 가치를 공유하는 양 도시의 재향군인회가 만난 뜻깊은 자리에 함께하게 되어 매우 영광”이라고 말했다. 이어 박 의원은 “앞으로도 서울시의회가 중심이 되어 양 도시 간 지속적인 교류와 협력이 이어질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하며 “두 도시가 보훈과 평화라는 공통 가치를 통해 한층 더 가까워지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 함께한 레 느 득(Lê Như Đức) 하노이시 재향군인회 회장도 “서울시의회의 따뜻한 환대에 깊이 감사드리며, 이번 방문이 양 도시 간 유대 강
thumbnail - 박성연 서울시의원 “서울시의회와 하노이 재향군인회 간 우의 다지는 뜻깊은 자리 마련”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