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악관 국빈만찬에 중국계 유명인사 대거 등장

백악관 국빈만찬에 중국계 유명인사 대거 등장

입력 2011-01-20 00:00
수정 2011-01-20 10:1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미국 백악관에서 14년만에 열린 중국 최고지도자를 위한 국빈만찬에는 중국계 거물급 유명인사들이 총출동했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 내외가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국가주석을 위해 마련한 이번 만찬에 초청장을 받은 인사들에는 전.현직 각료와 의회 의원 중 중국계 인사들이 거의 망라됐으며 문화.예술.체육계의 중화권 인사들도 상당수 눈에 띈다.

 현직 각료로는 노벨물리학상상 수상자인 스티븐 추 에너지 장관과 게리 로크 상무장관 등 2명의 중국계 인사가 참석했고 전직으로는 중국계 여성으로 미 행정부의 최고위직을 지낸 일레인 차오 전 노동장관도 행사장에 등장했다.

 중국계 여성으로 최초로 의회에 진출한 주디 추(민주.캘리포니아) 하원의원,데이비드 우(민주.오리건) 하원의원,진 콴 오클랜드 시장도 만찬장에 모습을 나타냈다.

 영화배우 청룽(成龍·재키 찬)과 김연아의 우상인 피겨스케이팅 세계선수권대회 우승자 미셸 콴,첼리스트 요요 마,뉴욕에서 활동하는 여성 디자이너 베라 왕,인기 드라마 ‘로 앤드 오더(Law & Order)’에 출연한 영화배우 B.D.왕 등도 초청받았다.

 요요 마는 2년전 오바마 대통령의 취임식 때 축하연주를 한 적이 있으며 웨딩드레스와 이브닝드레스 디자이너로 국내에서도 잘 알려져 있는 베라 왕은 미셸 오바마 여사가 각별히 좋아하는 인물로 알려져 있다.

 언론재벌 루퍼트 머독의 부인인 중국계 여성사업가 웬디 덩 머독과 중국계 작가이자 인권운동가인 베티 바오 로드 등도 초청자 명단에 이름이 올랐다.

 한편 이번 행사에는 전직 미국 대통령 2명도 포함됐는데,지미 카터 전 대통령과 함께 힐러리 클린턴 국무장관의 배우자 자격으로 빌 클린턴 전 대통령이 만찬장에 모습을 나타냈다.

 재계인사로는 마이크로소프트(MS)의 스티브 발머,골드만삭스의 로이드 블랭크페인,J.P모건체이스의 제이미 다이먼,월트디즈니의 로버트 아이거,제너럴일렉트릭의 제프리 이멜트,코카콜라의 무타르 켄트,듀퐁의 엘렌 쿨먼,인텔의 폴 오텔리니 등 거물급 CEO(최고경영자)들이 등장했다.

 이밖에 미 민주당의 열렬한 지지자인 여배우 바브라 스트라이전드,미.중 수교의 실무작업을 주도했던 헨리 키신저 전 국무장관도 참석했다.

 

김지향 서울시의원 “지상은 39도, 지하도 31도 넘었다···서울지하철 폭염 재난수준”

117년 만의 기록적 폭염 속에서 서울지하철 일부 역사가 체감온도 40도에 가까운 ‘찜통’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김지향 서울시의원(국민의힘, 영등포 제4선거구)은 서울교통공사로부터 제출받은 7월 22일부터 24일까지 서울지하철 각 호선 주요 역사 17개 역을 대상으로 오전 8시, 오후 3시, 오후 6시의 온도를 표본 측정자료를 분석한 결과, 옥수역의 경우 24일 오후 3시 39.3도, 오후 6시 38.1도를 기록하는 등 시민들은 ‘찜통역’을 경험하고 있다고 밝혔다. 2호선 성수역 또한 24일 오후 39도를 기록하는 등 매우 높은 온도를 기록했으며 조사한 3일간 오전 8시 온도 역시 30도를 넘겨 오후 기록보다는 낮지만, 서울지하철 기준온도(가동기준온도 29℃)보다 높은 것을 확인했다. 조사 결과, 지하역사인 아현역(최고 31.2도), 한성대입구역(최고 31.5도), 서울역(30.5도)도 조사 기간 내 오후뿐만 아니라 아침 시간대에도 이미 29~30도를 기록하여 시민들이 온종일 더위에 노출되고 있으며, 실제 체감온도는 측정치보다 훨씬 높았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지상역사에 비해 지하역사는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를 보이지만, 밀폐 구조로 인해 공기가
thumbnail - 김지향 서울시의원 “지상은 39도, 지하도 31도 넘었다···서울지하철 폭염 재난수준”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