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아웅산 수치의 배신/이종락 논설위원

[길섶에서] 아웅산 수치의 배신/이종락 논설위원

이종락 기자
입력 2018-07-12 22:50
수정 2018-07-12 22:5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무료한 주말이면 인터넷TV(IPTV) 리모컨을 눌러 대는 게 일상이 됐다. TV 프로그램을 검색하거나 철 지난 영화를 골라 보는 재미가 쏠쏠하다. 지난 주말에도 소파에서 뒤척이다 어김없이 검색 작업에 몰입했다. 한참을 뒤지다 보니 ‘비욘드 랭군’(Beyond Rangoon)에 시선이 멈춘다. 존 부어먼 감독의 1996년 작품. 니컬러스 케이지의 전 부인이었던 패트리샤 아퀘트가 주인공으로 나온다. 독재자 네윈 장군의 군정에 항거해 일어난 1988년 버마 민주화운동이 배경이다. 주인공인 로라가 시위대 속에서 총검에 맞서는 민중의 영웅 아웅산 수치를 만난다. 수만 명의 군중이 환호성을 질러 대는 모습에서 수치는 ‘민주화의 꽃’으로 묘사된다. 반독재 투쟁을 경험한 우리나라에서도 상영 당시 호평을 받았다. 버마 민중의 절대적인 존경을 받던 수치는 이후 군사정권과 손을 잡아 권력 전면에 나선다. 최근에는 이슬람계 소수민족 로힝야족에 대한 미얀마(옛 버마) 군경의 인종청소를 방관해 인권 탄압의 대명사로 전락했다. 1991년 받은 노벨평화상을 반납하라는 요구도 적지 않다. 수치는 왜 변했을까. 권력의 무서움을 느낀다.

jrlee@seoul.co.kr
2018-07-13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