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낮잠/황수정 논설위원

[길섶에서] 낮잠/황수정 논설위원

황수정 기자
황수정 기자
입력 2017-10-23 22:12
수정 2017-10-23 23:0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객지밥을 오래 먹은 탓일까. 삼복더위에도 더운밥이라야 개운하다. 밥솥이 비었으면 삼시 세 끼 굶은 빈속마냥 따끔해지고, 괜스레 허둥지둥 서걱거리는 마음. 햇반이라는 이름의 인스턴트 밥이 상비약처럼 밥솥 옆을 지킨다. 이쯤 되면 더운밥 강박증이다.

어느 집에서 햇된장을 뜨나 보다. 열린 베란다 창 너머로 된장국 냄새가 요란하게 건너온다. 맞불을 피우듯 나도 덩달아 아욱국을 끓인다. 두어 숟갈 된장을 풀어 바글바글 끓는 소리를 울려도 본다. 집된장 시늉을 제아무리 해봤자 사다 끓인 된장은 얕아서 발등도 잠기지 않는 맛이다.

이맘때면 아침 볕에 엄마가 열고 해넘이에 할머니가 꼭꼭 여몄던 된장독. “돈 주고 먹는 깨끼밥이 살이 되겠더냐.” 볕에 잘 익힌 햇된장 아욱국에는 식은밥을 말아도 쓰린 속이 잠잤다.

사립문 닫아걸고 먹는다는 아욱국에 햇반 한 덩이를 만다. 먹어도 먹어도 거꾸로 허기지는 맛. 쌉쌀한 아욱 뒷맛을 노오란 햇된장으로 뭉근히 달랬던 엄마 손맛을 꿈에서라면 만날까.

밥상머리에 길게 누워 낮잠 한숨 배부르게 자고 싶은 가을날.

황수정 논설위원 sjh@seoul.co.kr
2017-10-24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