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노가리/박홍환 논설위원

[길섶에서] 노가리/박홍환 논설위원

박홍환 기자
입력 2016-10-25 22:28
수정 2016-10-25 23:0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노가리를 처음 맛본 것은 대학에 입학한 후였으니 30여년쯤 전인 것 같다. 친구들과 술집에서 500㏄ 생맥주 잔을 부딪칠 때 안주는 거의 언제나 노가리였다. 다른 안주보다 저렴해서 모두 시종 노가리를 씹어 대며 ‘나라가 어떻네, 사회가 어떻네, 학교가 어떻네, 사랑이 어떻네’ 하고, 정말이지 주제 불문, 입장 불문, 결론 불문의 잡설(雜說)판을 벌이곤 했다.

노가리를 씹으면서 노가리를 풀어 대는 풍경이 곳곳의 선술집에서 벌어졌다. 노가리를 앞에 둔 노가리꾼들의 입담은 차지고 맛깔스럽기까지 했다. 그런데 어느 때부턴가 술꾼들의 안주상에 노가리보다는 오징어, 땅콩, 소시지 등이 올라오는 빈도가 잦아졌고, 그래서일까 왁자지껄한 술판도 차츰 사라졌다. 노가리가 없으니 이야기 또한 자취를 감췄다고 해야 할까.

수산 당국이 세계 최초로 명태의 완전한 양식에 성공했다고 한다. 명태의 산란 규모가 어마어마하다니 국산 명태 새끼, 다시 말해 국산 노가리 또한 곧 대대적으로 술꾼들의 안주상에 복귀할 것이다. 그때쯤이면 국산 명태의 전멸, 노가리의 부재로 시작된 ‘불통의 시대’도 막을 내릴까.

박홍환 논설위원 stinger@seoul.co.kr
2016-10-26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