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시월, 기다림, 이별/손성진 논설실장

[길섶에서] 시월, 기다림, 이별/손성진 논설실장

손성진 기자
입력 2015-09-29 18:04
수정 2015-09-29 19:5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쌉쌀하게 서늘한 날씨가 그리운 건 늦더위 때문이겠다. 50년 만의 늦더위란다. 언제부턴가 봄이 없어졌다더니 가을마저 실종될 건가. 아직 9월인데 만개한 들국화를 기다리는 건 좀 성급한 것일까. 그래도 반소매 차림이 자연스러운 날씨는 시간을 거스른다. 절기로 따지면 가을의 시작이라는 입추(立秋)가 지난 지는 50여일이요, 찬 이슬이 내린다는 한로(寒露)가 여드레 앞이다. 추래불사추(秋來不似秋)다.

하루 뒤면 10월이다. 10월은 가을 냄새가 더 난다. 그래서 기다려진다. “시월이 오면/하늘에 곱게 물 들여진 낙엽/호수에 살짝 띄워 놓고/누군가 기다려지는 날이었으면/좋겠습니다”(‘시월이 오면 그대 오려나’, 김용관) 기다림은 설렘이다. 꽃이 피기를 기다리고, 연인을 기다리고…. 또 가을다운 가을을 기다린다. 가을은 만물이 영그는 완숙의 계절이다. 그것은 곧 이별을 의미한다. 들녘은 곡식을 내어주고 텅 빈 벌판이 될 것이다. 꽃은 떨어지고 나뭇잎은 거리에 나뒹굴 것이다.

어서 시월이 오면 누런 벌판을 헤집고 다녀 보고, 낙엽을 저벅저벅 밟으며 걸어 보련다. 그리운 친구의 연락도 기다려 봐야겠다.

손성진 논설실장 sonsj@seoul.co.kr

2015-09-30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