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정월 대보름/최광숙 논설위원

[길섶에서] 정월 대보름/최광숙 논설위원

최광숙 기자
최광숙 기자
입력 2015-03-05 18:00
수정 2015-03-05 18:0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평소 밥에 국 차려 놓고 먹는 아침 식사는 하지 않는다. 대신 과일 등을 먹는다. 아침 나절의 상차림이 성가시기도 하지만 바쁜 출근 준비에 그렇게 먹어야 여러 개의 신문을 제대로 챙겨 읽을 수 있는 시간이 난다. 영양 과잉 시대에 아침이라도 적게 먹어야 살도 덜 찌고, 속이 편하기도 하다. 물론 이에 남편은 오히려 아침밥을 안 먹기에 점심에 많이 먹어 더 살찐다는 주장을 펴지만 칼자루는 주부가 쥐기 마련.

모처럼 어제 아침 제대로 한 상 차려 놓고 밥을 먹었다. 취나물, 고구마순나물, 시래기나물 등 나물만도 다섯 가지다. 그제 퇴근길에 아파트 안에 있는 반찬가게에 들러 산 것들이다. 가게 아주머니가 고향 가서 준비해 왔다는 묵은 나물을 솜씨 좋게 무쳐서 여간 맛있지 않았다. 오곡밥도 팔긴 했지만 밥까지 사기는 뭐해 밥은 집밥으로 먹었다.

정월 대보름에 굶으면 일 년 내내 굶는다는 말이 있다. 돌아가신 친정어머니는 늘 그 말씀을 하시면서 정월 대보름에는 꼭 아침밥을 챙겨 먹기를 권하셨다. 그래서인지 어떨 때는 생일도 깜빡하며 무심하게 사는데 정월 대보름만은 꼭 챙기게 된다. 다른 일은 잘 안 풀려도 어디 밥이야 굶어서야 되겠나.

최광숙 논설위원 bori@seoul.co.kr
2015-03-06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