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우의 언파만파] 우유값과 우윳값/어문부 전문기자

[이경우의 언파만파] 우유값과 우윳값/어문부 전문기자

이경우 기자
입력 2021-10-10 20:34
수정 2021-10-24 20:1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깻잎. ‘깨의 잎’을 우리는 이렇게 적는다. 그리고 [깬닙]이라고 발음한다. 상식처럼 여긴다. 북한에선 사이시옷을 빼고 ‘깨잎’이라고 표기한다. 그렇지만 발음은 우리처럼 [깬닙]이다. 북한에선 이게 상식이다. 북한은 우리와 달리 사이시옷 소리가 나는 현상을 표기에 반영하지 않는다. 우리말을 배우는 외국인들 가운데는 ‘깻잎’을 [깨십]이라고 하는 이들도 있다. 엉뚱해 보일지 몰라도 우리가 ‘옷을’을 [오슬], ‘하늘이’를 [하느리]라고 발음하는 원리와 같다. 우리도 ‘깨잎’으로 적는 게 원칙이었다면 외국인들이 [깨십]이라고 발음하는 일은 없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이렇게 한다고 해도 사이시옷 적기의 문제가 해결되는 것은 아니다. 오랫동안 불편과 불만이 쌓여 있다.

‘깃발’, ‘바닷가’, ‘잇몸’, ‘햇살’을 ‘기발’, ‘바다가’, ‘이몸’, ‘해살’로 적으라고 하면 거부감이 클 게 뻔하다. 누구라도 사이시옷을 받쳐 적는다. 많은 이들이 원하는 것은 넣을 건 넣고, 뺄 건 빼도록 하자는 것 같다. 그런데 말처럼 쉽진 않다. 소리는 나는데 어떤 상황에서 사이시옷을 뺄지 기준을 정하기 어렵다. 발음이 다 같은 것도 아니다. 누구는 [망내똥생]으로, 누구는 [막내동생]으로 발음한다. 현재는 앞쪽을 기준으로 한 ‘막냇동생’이 규범 표기다. 다수가 거부감을 갖는다. 이렇게 적지 않을 방법이 없는 건 아니다. 맞춤법의 사이시옷 규정을 지우면 된다. 그러면 사전 편찬자들이 유연해질 수 있다. 언어 현실을 반영해 ‘막내동생’을 표제어로 삼을 가능성이 높다. 언론매체들은 좀더 자유롭게 현실을 반영할 수 있다. 규정이 그렇더라도 언론매체들이 지나치게 규정을 따르려는 경향은 아쉽다. 언론매체는 규정을 넘어 현실적이고 새로운 가치를 반영해야 한다.

최근 우유 가격이 오르면서 언론매체에서 우유와 관련한 언급이 많았다. 규범 표기가 ‘우유값’일 것 같지만, ‘우윳값’이다. 이유는 ‘우유값’에서 ‘값’이 [깝]으로 소리 나기 때문이다. 정말 대부분 [우유깝]이라고 발음한다. 그렇지만 ‘우유병’은 [우유뼝]으로 소리 나더라도 ‘우윳병’으로 적지 않는 게 원칙이다. ‘우유병’(牛乳甁)이 모두 한자어로 이뤄져 있어서다. 일관성이 없다고 여기는 이들도 있겠다. 한자어 가운데 곳간(庫間)·셋방(貰房)·숫자(數字)·찻간(車間)·횟수(回數)·툇간(退間)은 또 예외여서 사이시옷을 받쳐 적는다.

서울신문은 ‘우유값’으로 표기한다. 규정과 상관없이 ‘우윳값’이 과도한 표기라고 판단했다. 어문 규정은 언어생활의 편리와 소통의 원활을 위한 것이다.

2021-10-11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