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혐오 막말·깜깜이 속 사전투표… ‘차악’이라도 가릴 한 표를

[사설] 혐오 막말·깜깜이 속 사전투표… ‘차악’이라도 가릴 한 표를

입력 2025-05-29 00:17
수정 2025-05-29 00:5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여성 신체 발언, 정치 혐오 더 깊어져
공약 한 번 더 보고 더 나은 선택해야

지난 27일 서울 상암 MBC스튜디오에서 열린 21대 대선후보 3차 토론회에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 민주노동당 권영국 후보,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좌측부터) 가  참석하여  토론회를 준비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지난 27일 서울 상암 MBC스튜디오에서 열린 21대 대선후보 3차 토론회에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 민주노동당 권영국 후보,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좌측부터) 가 참석하여 토론회를 준비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6·3 대선 사전투표가 오늘과 내일 이틀에 걸쳐 전국에서 실시된다. 사전투표는 전국 단위로는 2014년 지방선거 때 처음 시행된 뒤 이번 대선이 아홉 번째다. 사전투표를 둘러싼 일각의 의혹 제기에도 불구하고 전체 투표자 수에서 사전투표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2022년 대선 때 47.9%, 지난해 총선에선 46.7% 등으로 증가 추세다. 사실상 본투표나 다름없지만 후보자들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제공받았다고 느끼는 유권자는 많지 않을 것이다.

3차례에 걸쳐 진행된 대선 후보 TV 토론은 네거티브 공격과 상호비방전 위주로 얼룩졌다. 사전투표를 앞두고 그제 열린 마지막 토론은 이준석 후보가 여성 신체와 관련해 노골적이고 폭력적인 표현을 인용한 문제로 들끓었다. 여성단체 등의 고발이 이어지면서 논란이 증폭되자 이 후보는 사과했지만 유권자들의 상심은 깊다. 이 후보는 “있던 말을 전한 것”이라고 했으나 정치의 세대교체를 하겠다면서 이런 네거티브 구태로 표를 달라고 할 염치가 있는지 의문이다. 정치 혐오가 더 깊어졌다는 탄식이 쏟아진다.

이러니 중도 유권자들은 어느 후보에게 어떤 기대를 걸고 한 표를 던져야 할지 마음을 잡지 못하겠다고 한다. 실제로 후보들의 국정 철학과 식견을 듣고 자질과 능력을 판단할 근거가 크게 부족했던 것이 사실이다. TV 토론을 세 차례 진행했으나 중국의 제조업 추월, 미국발 안보·통상 환경 변화, 내수 침체와 경제성장률 둔화 등 국내외적 위기에 대한 해법과 비전을 찾아보기 어려웠다. 가장 유력하다는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는 ‘내란 세력 심판’만 반복하면서 ‘부자 몸조심’하듯 쟁점을 피하는 데 급급했다.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는 ‘범죄 후보’와 ‘방탄 독재’ 공격에 치중하며 조기 대선의 원인인 계엄과 탄핵에는 끝까지 절연하는 모습을 보이지 못했고 새로운 정치 비전도 제시하지 못했다.

후보들의 공약집도 ‘뒷북’이었다. 민주당은 어제에야 공약집을 내놨다. 그나마도 구체성이 떨어지고 심지어 상충하는 대목도 적지 않다. 유권자들이 후보들의 정책을 비교·검증할 근거 자료를 제공받지도 못한 셈이다.

그럼에도 선택의 시간은 왔다. 대한민국 공동체의 내일을 위해 옥석을 가려내는 지혜를 발휘해야 한다. 새 정부는 정권인수위원회도 건너뛰고 출범하게 된다. 많은 공약이 그대로 정책으로 시행될 것이기에 우려는 더 크다. 유권자 한 사람 한 사람이 최선이 아니라면 차선, 차선이 아니라면 차악이라도 눈을 크게 뜨고 선택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야 한다. 그래야 국민을 걱정시키는 한국 정치가 한 발이라도 앞으로 나아가게 할 수 있다.
2025-05-29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