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은 북한에 추석을 전후로 한 이산가족 상봉을 공식 제의했다. 박 대통령은 어제 제68주년 광복절 경축식 축사에서 “개성공단 사태 합의를 계기로 과거 남북관계의 잘못된 관행을 바로잡고, 상생의 새로운 남북관계가 시작되기를 바란다”면서 “먼저 이산가족들의 고통부터 덜어드렸으면 한다”고 밝혔다. 남북은 그제 어렵사리 개성공단을 기사회생시켰다. 우리는 북한이 개성공단 정상화를 이뤄낸 합의 정신을 바탕으로 이산가족 상봉 제의에도 적극 호응해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의 선순환이 이어지길 바란다.
북한은 개성공단 회담 진행 도중인 지난달 10일 판문점 연락채널을 통해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위한 실무회담을 먼저 제의한 바 있다. 구체적 날짜(지난달 19일)와 장소(금강산 또는 개성)까지 못 박았다. 그런 만큼 북한이 박 대통령의 이산가족 상봉 제안에 화답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고 본다. 개성공단 정상화로 남북관계에 탄력이 붙은 마당에 이산가족 상봉 성사를 위한 논의의 자리를 마다한다면 모처럼 조성된 남북 화해 국면에 다시 찬물을 끼얹는 일이 될 것이다. 더구나 개성공단 가동에 이어 이산가족 상봉까지 이뤄진다면 북핵실험 등으로 냉랭한 국제사회의 대북 여론을 다소나마 누그러뜨리는 데 일조하지 않겠는가.
이산가족 상봉은 정치적인 사안이 아닌 인도적 차원의 문제다. 그렇기에 이런저런 토를 달아 미룰 사안이 아니다. 통일부 이산가족정보통합센터에 등록한 이산가족 상봉 신청자는 12만 8808명이라고 한다. 이 가운데 올 5월 말 현재 7만 3400여명(57%)만 생존해 있고, 5만 500여명(43%)은 이미 사망했다. 생존자 모두가 50대 이상이며, 70대 이상의 고령자가 전체의 80.5%에 달한다. 이산가족 상봉이 하루빨리 이뤄지지 않으면 안 되는 이유다.
앞으로 추석이 불과 한 달여 남았다. 논의를 서둘러야 한다. 남북 간 대화가 잘 풀려 이번에 이산가족 상봉이 성사된다면 2010년 11월 이후 거의 3년 만에 이뤄지게 된다. 하지만 한번 이산가족 상봉을 해도 만날 수 있는 인원이 200여명 수준에 그친다. 그런 방식으로는 이산가족 문제를 해결하기에 근본적으로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죽기 전 피붙이와의 만남을 애타게 기다려온 고령의 이산가족들을 또다시 기약 없이 기다리게 할 순 없는 노릇이다. 그런 만큼 앞으로 상설면회소 등을 통한 상봉의 정례화와 상시화도 이뤄지길 기대한다.
북한은 개성공단 회담 진행 도중인 지난달 10일 판문점 연락채널을 통해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위한 실무회담을 먼저 제의한 바 있다. 구체적 날짜(지난달 19일)와 장소(금강산 또는 개성)까지 못 박았다. 그런 만큼 북한이 박 대통령의 이산가족 상봉 제안에 화답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고 본다. 개성공단 정상화로 남북관계에 탄력이 붙은 마당에 이산가족 상봉 성사를 위한 논의의 자리를 마다한다면 모처럼 조성된 남북 화해 국면에 다시 찬물을 끼얹는 일이 될 것이다. 더구나 개성공단 가동에 이어 이산가족 상봉까지 이뤄진다면 북핵실험 등으로 냉랭한 국제사회의 대북 여론을 다소나마 누그러뜨리는 데 일조하지 않겠는가.
이산가족 상봉은 정치적인 사안이 아닌 인도적 차원의 문제다. 그렇기에 이런저런 토를 달아 미룰 사안이 아니다. 통일부 이산가족정보통합센터에 등록한 이산가족 상봉 신청자는 12만 8808명이라고 한다. 이 가운데 올 5월 말 현재 7만 3400여명(57%)만 생존해 있고, 5만 500여명(43%)은 이미 사망했다. 생존자 모두가 50대 이상이며, 70대 이상의 고령자가 전체의 80.5%에 달한다. 이산가족 상봉이 하루빨리 이뤄지지 않으면 안 되는 이유다.
앞으로 추석이 불과 한 달여 남았다. 논의를 서둘러야 한다. 남북 간 대화가 잘 풀려 이번에 이산가족 상봉이 성사된다면 2010년 11월 이후 거의 3년 만에 이뤄지게 된다. 하지만 한번 이산가족 상봉을 해도 만날 수 있는 인원이 200여명 수준에 그친다. 그런 방식으로는 이산가족 문제를 해결하기에 근본적으로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죽기 전 피붙이와의 만남을 애타게 기다려온 고령의 이산가족들을 또다시 기약 없이 기다리게 할 순 없는 노릇이다. 그런 만큼 앞으로 상설면회소 등을 통한 상봉의 정례화와 상시화도 이뤄지길 기대한다.
2013-08-16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