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국립대 총장 직선제 폐지 이후가 중요하다

[사설] 국립대 총장 직선제 폐지 이후가 중요하다

입력 2012-08-06 00:00
수정 2012-08-06 01:0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38개 국립대가 모두 총장 직선제를 폐지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교육과학기술부의 국립대 총장 직선제 폐지 마감시한이 이달 말로 가까워지자 마지막까지 직선제를 고수했던 부산대·전남대·목포대 등 3개 대학도 직선제 폐지로 결론을 내렸다고 한다. 늦었지만 정말 잘한 일이라고 본다. 그동안 총장 직선제가 학내 파벌 조성과 교수들의 무사안일 분위기를 부추기는 등 대학 개혁의 걸림돌이라는 지적이 많았다. 이제 대학들은 잘못된 일을 바로잡고 새로운 개혁의 길로 매진해야 한다.

3개 국립대마저 교과부에 백기를 든 것은 재정 지원 축소 등 정부의 ‘돈줄 끊기’라는 초강수에 더 이상 버티기 어려웠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이들 대학은 정부에 밀렸다고만 생각하지 말고 직선제로는 더 이상 학교 발전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사실을 겸허히 받아들여야 한다. 총장 직선제가 대학 민주화와 자율을 가져온 것은 사실이지만 직선제의 폐해와 부작용으로 대학들은 수술대에 오르지 않으면 안 되는 중병을 앓아 왔다는 사실을 결코 외면해서는 안 될 것이다.

이제 지방 국립대의 경우 직선제가 폐지되면 지방 인재들을 육성하는 거점대학으로 위상을 떨쳤던 과거의 화려한 명성을 찾는 일에 적극 나서야 할 것이다. 한번 떨어진 대학의 경쟁력을 본 궤도에 올려 놓으려면 대학 본연의 임무인 교육과 연구에 매진하는 등 자구 노력이 필요하다. 그러려면 우선 직선제 폐지를 둘러싸고 전개됐던 학내의 갈등을 제대로 봉합하고 학교 분위기도 쇄신해야 할 것이다. 특히 정부는 총장 직선제 폐지 이후에 더 신경을 써야 한다. 일부 학교에서 직선제 대신 내·외부 인사가 총장으로 선출될 수 있도록 공모제 등으로 학칙이 변경된 만큼 혹여나 정부 입맛에 맞는 인사들을 총장으로 앉히는 무리수를 둔다면 그것은 다시 직선제 부활의 명분을 줄 수 있다는 점을 잊지 말기 바란다.

2012-08-06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