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은 그제 의원 워크숍을 갖고 4대 강과 세종시 등 현 정부의 주요 국책사업에 대해 지방자치단체와 함께 적극적으로 저지하기로 했다. 광역자치단체장 당선자 인수위원회 내에 특별위원회와 범(汎) 사회적기구를 구성하기로 했다. 4대 강 사업과 관련 있는 안희정 충남지사, 이시종 충북지사, 박준영 전남지사, 김두관 경남지사 당선자를 중심으로 연대하겠다는 구상이다. 6·2 지방선거에서의 승리를 바탕으로 4대 강 사업을 확실히 막겠다는 게 민주당의 방침이다.
하지만 3선(選)에 성공한 박준영 전남지사는 비슷한 시각 전남도청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4대 강은 정치투쟁이지만 영산강은 지역 현안”이라고 말했다. 그는 “다른 강은 잘 모르겠지만 과거 정부에서 방치했던 영산강을 내버려 둬서는 안 된다.”고 역설했다. 박 지사는 광역단체장들과의 연대와 관련, “협의는 하겠지만 연대할 생각은 없다.”면서 영산강 살리기 사업을 4대 강 반대와 분리해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거듭 강조했다. 박 지사는 4대 강 사업 반대를 당론으로 채택한 민주당의 결정과는 다른 뜻을 확실히 한 것이다. 지역과 지역주민을 위해 소신대로 하겠다는 뜻이다. 기존의 입장과 같은 뜻을 표명한 것이지만 때가 때인 만큼 용기 있는 선언으로도 보인다.
지방선거에서 한나라당이 충청권에서 완패한 것은 세종시와 관련이 있을 것이다. 그러나 민주당이 4대 강 사업까지 완전히 무산시키라는 민심으로 해석하는 것은 지나친 견강부회(牽强附會)일 수 있다. 유권자들이 충남·충북지사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를, 경남지사 선거에서 무소속 후보를 각각 당선시킨 것은 4대 강 사업과 직접적 관련은 많지 않다고 본다. 여당과 정부의 오만에 대한 심판, 한나라당 후보의 문제 등이 복합적으로 겹쳤기 때문일 것이다. 지방선거에 참패했는데도 정부가 4대 강 사업을 기존의 계획과 속도대로 밀어붙이면 이것도 큰 문제지만 민주당이 승리를 이유로 4대 강 사업 강력 저지에 나서는 것도 그리 바람직하지 않다. 양쪽 모두 고집을 꺾고 어떤 게 국가와 해당지역 주민들에게 도움이 되는 길인지 현명한 조율을 하기를 바란다. 더 오만한 쪽이 후회한다.
하지만 3선(選)에 성공한 박준영 전남지사는 비슷한 시각 전남도청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4대 강은 정치투쟁이지만 영산강은 지역 현안”이라고 말했다. 그는 “다른 강은 잘 모르겠지만 과거 정부에서 방치했던 영산강을 내버려 둬서는 안 된다.”고 역설했다. 박 지사는 광역단체장들과의 연대와 관련, “협의는 하겠지만 연대할 생각은 없다.”면서 영산강 살리기 사업을 4대 강 반대와 분리해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거듭 강조했다. 박 지사는 4대 강 사업 반대를 당론으로 채택한 민주당의 결정과는 다른 뜻을 확실히 한 것이다. 지역과 지역주민을 위해 소신대로 하겠다는 뜻이다. 기존의 입장과 같은 뜻을 표명한 것이지만 때가 때인 만큼 용기 있는 선언으로도 보인다.
지방선거에서 한나라당이 충청권에서 완패한 것은 세종시와 관련이 있을 것이다. 그러나 민주당이 4대 강 사업까지 완전히 무산시키라는 민심으로 해석하는 것은 지나친 견강부회(牽强附會)일 수 있다. 유권자들이 충남·충북지사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를, 경남지사 선거에서 무소속 후보를 각각 당선시킨 것은 4대 강 사업과 직접적 관련은 많지 않다고 본다. 여당과 정부의 오만에 대한 심판, 한나라당 후보의 문제 등이 복합적으로 겹쳤기 때문일 것이다. 지방선거에 참패했는데도 정부가 4대 강 사업을 기존의 계획과 속도대로 밀어붙이면 이것도 큰 문제지만 민주당이 승리를 이유로 4대 강 사업 강력 저지에 나서는 것도 그리 바람직하지 않다. 양쪽 모두 고집을 꺾고 어떤 게 국가와 해당지역 주민들에게 도움이 되는 길인지 현명한 조율을 하기를 바란다. 더 오만한 쪽이 후회한다.
2010-06-09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