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똑똑 우리말] 개다와 개이다/오명숙 어문부장

[똑똑 우리말] 개다와 개이다/오명숙 어문부장

오명숙 기자
입력 2021-06-02 20:36
수정 2021-06-03 03:3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봄비는 쌀비’라는 말이 있다. 건기인 봄철에 비가 넉넉히 오면 그해 풍년이 든다는 뜻이다. 하지만 올봄엔 지나치다 싶을 만큼 많은 비가 내렸다. 하루가 멀다 하고 비 소식이니 장마철만큼이나 맑게 갠 하늘이 기다려진다.

‘흐리거나 궂은 날씨가 맑아지다’란 뜻의 동사는 ‘개다’이다. ‘날이 개다’, ‘비가 개다’와 같이 써야 하는데 ‘날이 개이다’, ‘비가 개이다’처럼 쓰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개다’는 자동사이기 때문에 피동 접미사 ‘이’를 붙일 수 없다. 즉 날씨가 맑아지는 건 무언가의 힘에 일어나는 현상이 아닌 자연 현상이므로 피동형을 쓰면 안 된다.

‘같은 말을 되풀이해 말하다’란 뜻의 ‘되뇌다’도 마찬가지다. ‘입 속으로 그 말을 몇 번이고 되뇌었다’처럼 ‘되뇌다’로 써야 할 것을 ‘되뇌이다’로 쓰는 경우를 흔히 볼 수 있다. ‘되뇌다’ 역시 남의 의지가 아닌 자신의 의지로 같은 말을 되풀이한다는 뜻의 자동사이므로 피동 접미사 ‘이’가 붙어선 안 된다.

이렇게 ‘이’를 붙여 잘못 사용하는 말로는 ‘마음이 설레이다’, ‘빗속을 헤매이다’, ‘땀이 배이다’, ‘목이 메이다’, ‘불에 데이다’ 등이 있다. 모두 ‘설레다’, ‘헤매다’, ‘배다’, ‘메다’, ‘데다’ 등으로 써야 한다.

한편 ‘해를 가리우다’, ‘샛별로 불리우다’, ‘잠을 못 자 졸리우다’ 등은 불필요하게 사동 접미사 ‘우’를 붙인 경우로 ‘해를 가리다’, ‘샛별로 불리다’, ‘잠을 못 자 졸리다’로 써야 맞다.

oms30@seoul.co.kr
2021-06-03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