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나라군은 지쳐 가고 있었다. 싸우려는 의지도 거의 잃은 상태였다. 이를 알아챈 고구려의 장수 을지문덕은 적의 장수 우중문에게 시를 한 편 보낸다. ‘신기한 계책은 하늘의 이치를 깨달았고/…/싸움마다 이겨 이미 공이 높으니/족한 줄 알고 이제 그만둠이 어떨까.’ 우중문은 물러나기로 한다. 그리고 ‘살수’, 지금의 청천강에서 크게 싸움이 벌어진다.
‘요동을 건너간 군사는 30만 5000명, 그러나 돌아온 군사는 2700명뿐이었다.’ 중국의 역사책 ‘자치통감’은 이렇게 기록했다. 이 전투를 우리 국사책들은 ‘살수대첩’이라고 적었다. ‘살수에서 크게 이긴’ 것이다. 이후 크게 승리한 전투에는 ‘대첩’이란 명칭이 붙었다. 고려시대 왜구를 물리친 ‘황산대첩’, 임진왜란 때의 ‘한산도대첩, 행주대첩’, 일제강점기의 ‘청산리대첩’….
이렇게 기록된 ‘대첩’들은 의미가 온전하게 전해지지 않은 듯하다. 솔로들의 짝을 찾아준다며 마련된 ‘솔로대첩’에서는 ‘큰 행사’, ‘요리대첩’에서는 ‘크게 벌인 경연’을 가리키는 말로 쓰였다. 크게 벌이는 할인 행사에서는 ‘특가대첩’이라고 말했다. ‘살수대첩’, ‘청산리대첩’에서 ‘대첩’(大捷)은 ‘큰 전투’가 아니라 ‘큰 승리’였다.
‘요동을 건너간 군사는 30만 5000명, 그러나 돌아온 군사는 2700명뿐이었다.’ 중국의 역사책 ‘자치통감’은 이렇게 기록했다. 이 전투를 우리 국사책들은 ‘살수대첩’이라고 적었다. ‘살수에서 크게 이긴’ 것이다. 이후 크게 승리한 전투에는 ‘대첩’이란 명칭이 붙었다. 고려시대 왜구를 물리친 ‘황산대첩’, 임진왜란 때의 ‘한산도대첩, 행주대첩’, 일제강점기의 ‘청산리대첩’….
이렇게 기록된 ‘대첩’들은 의미가 온전하게 전해지지 않은 듯하다. 솔로들의 짝을 찾아준다며 마련된 ‘솔로대첩’에서는 ‘큰 행사’, ‘요리대첩’에서는 ‘크게 벌인 경연’을 가리키는 말로 쓰였다. 크게 벌이는 할인 행사에서는 ‘특가대첩’이라고 말했다. ‘살수대첩’, ‘청산리대첩’에서 ‘대첩’(大捷)은 ‘큰 전투’가 아니라 ‘큰 승리’였다.
2019-07-18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