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래된 말이다. 1920년대 신문 기사에서도 발견된다. 이후 ‘사회지도층’이란 말은 대개 부정적인 행위들과 어울려 사용됐다. 이들이 잘하는 일은 탈세, 병역 비리, 재산 빼돌리기 같은 것이었다.
이미지 확대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말 같지 않은 말이라는 저항을 불렀다. ‘사회지도층’이라고 지칭되는 이들이 하는 일이 ‘지도’와 정반대였기 때문에 더욱 그랬다. ‘뻔뻔함’ 혹은 ‘특권 의식’이 ‘지도’를 대신했다. 지도를 받는 계층이 없는데, 지도층이 있다는 것도 말이 안 되는 것이었다. 권위적이며 지난 시절의 관습과 인식을 담은 용어이니 퇴출시키자는 말이 도처에서 나왔다.
그래도 여전히 쓰인다. 특정한 사람들을 한 덩어리로 묶어서 질타하는 용도로 많이 사용한다. 이때 이들은 ‘사회지도층’이란 익명으로 숨는다. 이 말이 만들어진 까닭은 사회지도층이 본래 없었기 때문인 듯하다. 일부에서는 이 말을 요긴하게 사용한다. 모두에게 질타를 가하는 용도로 ‘사회지도층’을 끌어온다.
어떤 이유에서든 불편함을 준다. 사태를 올바르게 반영치 않은 말은 진실을 비튼다.
wlee@seoul.co.kr
2018-09-20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