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옴부즈맨 칼럼] 생생한 정보의 힘과 함정/나은영 서강대 신방과 교수·사회심리학 박사

[옴부즈맨 칼럼] 생생한 정보의 힘과 함정/나은영 서강대 신방과 교수·사회심리학 박사

입력 2012-07-25 00:00
수정 2012-07-25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나은영 서강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나은영 서강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생생한 사례기사가 객관적 통계기사보다 주의를 더 강하게 끄는 이유는 무엇일까. 구체적 사례를 묘사한 기사가 사람들의 머릿속에 관련 내용을 더 쉽게 떠올려 마음에 크게 와 닿기 때문이다. 7월 11일 자 6면 ‘행복하지 않은 한국: OECD행복지수 꼴찌 수준’이라는 기사에는 한국의 행복지수가 10점 만점에 4.20점으로 34개국 중 32위라는 내용이 실렸다. 5일 자 25면에는 ‘인생 1막은 막장, 인생 2막은 넬라 판타지아’라는 제목으로 고아 출신 ‘한국의 폴포츠’ 성악가 최성봉 인터뷰 기사가 실렸다. 전자가 더 객관적이고 전체적인 한국의 상황을 알려 주고 있지만, 후자가 더 사람들의 마음속을 파고든다.

미국의 사회심리학자인 니스벳이 동료와 함께한 연구에서, 심리학 과목들의 강의평가 정보를 통계자료(5점 척도상의 수치)와 사례정보(그 과목 수강생 몇 명의 서술)로 주었을 때 학생들이 강의를 선택하는 데 더 큰 영향을 발휘한 것은 사례정보, 즉 구체적인 수강 경험 진술이었다. 이런 경향은 심리학을 전공하겠다는 마음이 굳었던 학생들이 더 강했다. 이는 본인에게 중요한 판단을 할 때도 통계정보보다 사례정보에 더 의지한다는 사실을 보여 준다.

미디어는 생생한 정보의 원천이다. 미디어 이미지의 생생함으로 인해 판단을 잘못하는 때도 있다. 템플대학교 수학과 폴로스 교수는 사람들이 흔히 ‘큰 사건이 일어날 작은 확률’ 부분에서 비합리적인 확률 판단을 한다고 강조한다. 예를 들면 자녀에게 일어날 위험 중 무엇이 가장 걱정되는지 부모들에게 물었을 때 유괴사건을 가장 많이 꼽았다. 유괴사건의 발생 확률은 70만분의1에 불과하지만 그보다 확률이 100배 이상 높은 교통사고보다 더 많이 꼽은 이유는 대체로 미디어에서 유괴가 더 생생하게 묘사되기 때문이다.

사례기사에 이미지가 덧붙여지면 기사의 생생함은 더 증가한다. 7월 9일 자 14면 ‘150명 삼킨 폭우, 열흘째 40도 살인폭염: 지구촌 몸살’이라는 기사는 영국 요크지역의 홍수 사진과 미국 인디애나주 저수지의 바닥이 보이는 가뭄 사진을 대조적으로 보여 주면서, 지구촌 곳곳에 나타나는 이상기후 피해 상황을 잘 전달하고 있다. 불필요한 생생함을 강조한 것으로 보이는 기사는 6월 23일 자 5면 ‘여야 대선주자 8인의 스타일 대전’이다. 연예인 패션 잡지를 연상시킬 정도의 내용에 사진까지 곁들여 신문지면 거의 한 페이지를 할당할 만한 가치가 있는 기사인지 의구심이 든다. 대선주자 비교라면 한국을 이끌어 갈 이들의 정책들을 소상히 비교해 주는 것이 관련성과 중요성 측면에서 독자들의 기대에 어긋나지 않는 길일 것이다.

사례와 통계를 적절히 배합한 특집기사와 커버스토리는 바람직하다. 7월 6일 자 2면 ‘위기의 베이비부머’ 기사는 편집도 좋고 내용도 좋다. 눈을 끄는 V형 화살표에 대비되는 제목과 도표를 제시한 것도 참신하다. 아래로 내려가는 화살표에는 ‘2012년 폐업의 그늘: 살아보려 나서 봤지만’이란 제목이 있고, 위로 올라가는 화살표에는 ‘2013년 창업의 굴레: 막막해도 다시 나설밖에’라는 제목이 놓였다. 양쪽의 기사 모두 구체적 사례에서 시작하여 상황을 설명하면서 통계자료로 마무리하며 객관성을 높였다. 유사하게, 7월 14일 자 1면과 6~7면에 걸친 커버스토리 ‘휴가 스트레스’도 짜임새 있게 기획된 우수한 기사라고 생각된다. 여행의 개성시대를 강조함과 동시에 비정규직에게는 여름휴가가 그림의 떡이라는 현실 진단도 사례와 통계를 적절히 조합해 잘 구성했다.

생생한 사례기사의 함정은 개별 사례가 일반성을 갖지 않음에도 사람들은 이것이 일단 신문에 실리면 상당히 일반적일 것이라고 믿는다는 점이다. 이처럼 사례기사를 일반화시켜 해석하는 독자가 합리적이지 않은 것은 사실이지만, 사람이기 때문에 피하기 어려운 비합리적 확률 판단의 함정에 빠지지 않도록 주의 깊게 기사를 구성할 필요가 있다.

2012-07-25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