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춘규 정치부 선임기자
1995년 제1회 지방선거 때의 여론조사도 유사했다. 선거 전 다수의 여론조사에서는 당시 여당의 승리가 예상됐다. 선거전이 종반으로 갈수록 일부 여론조사 예측이 실제 선거와 유사해지기도 했지만 결과는 여당의 참패였다. 지방선거 여론조사 불신의 뿌리다.
6·4지방선거는 들쑥날쑥한 여론조사가 화제다. 대표적인 곳이 인천시장 여론조사였다. 거의 비슷한 시기에 실시된 여론조사에서 새누리당 유정복 후보가 새정치민주연합 송영길 후보를 앞선 조사도 있고, 송 후보가 이기는 조사도 나와 고개를 갸웃거리게 했다.
여론조사가 왜 이럴까. 우선 여론조사의 낮은 응답률이 지적된다. 최근 발표되는 전화면접 여론조사의 응답률은 15% 안팎이 많다. 자동응답시스템(ARS)은 3% 이하도 있다. 응답률이 낮으면 대표성에 문제가 생길 확률이 높아진다. 조사마다 들쑥날쑥으로 비쳐지는 이유다. 2, 3차 이상 추적조사를 적게 하기 때문이다. 시행기관과 평일과 휴일 조사의 차이도 변수다. 표본수가 적은 조사가 많은 점도 실제 여론과 차이를 초래한다. 표본이 적어도, 응답률이 낮아도 성별, 나이, 지역 등이 실제 인구구성비대로 되면 진짜 여론에 근접할 수 있지만, 대표성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한 채 조사 결과가 발표되면 실제와 다르다.
일본의 NHK 방송이나 아사히신문 등은 응답률이 60%대인 여론조사를 발표하고 있어 대비된다. 응답률을 높여 표본의 대표성을 높이려는 조치다. 비용이 많이 들기는 하지만 여론조사의 신뢰도에 영향을 준다. 미국은 선거 여론조사를 자주 실시하지 않는다고 한다. 예비선거 때 한 번, 상대가 정해진 뒤 한 번 등 최소로 실시된다. 여론조사 회사들이 설문을 정교하게 설계하고, 표본을 실제 인구비와 유사하게 표집해 대표성을 높인다고 통계전문가 이영작 박사가 전했다.
이영작 박사는 여론조사 의뢰 집단이 저비용으로 조사를 실시하려고 해 정확도를 떨어뜨릴 우려가 있다고 분석했다. 기관별로 경쟁적인 여론조사도 문제로 지적했다.
물론 대통령선거는 초중반은 몰라도 마지막 순간에는 대체로 실제 여론과 유사한 경향을 보인다. 지방선거 광역단체장 조사도 유사하다. 하지만 국회의원 총선이나 지방선거 기초단체장 등 지역이 좁은 선거는 여론조사와 실제가 다른 경우가 허다하다.
여론조사는 사회문화적 배경도 작용한다. 결과를 왜곡하려는 위장답변도 있다. 특히 세월호 참사는 보수·진보 양측의 무응답층을 넓혀 여론조사가 한층 어려워졌다고 한다. 정교하게 설문을 설계하더라도 조사 대상자의 속마음을 읽어내기가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
여론조사는 조사응답자들의 의견일 수 있다. 지방선거는 더 그러하다는 점을 고려해야 할 것 같다. 다만 선거가 아직도 열흘 이상 남아 있어 현재의 흐름이 출렁일 여지는 충분하다.
taein@seoul.co.kr
2014-05-22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