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상표 한국콘텐츠진흥원장
특히 5월 말에는 전 직원이 함께하는 워크숍에 다큐멘터리·게임·애니메이션 업체 대표들을 모셔, 한국콘텐츠진흥원의 지원 사업 수행방식과 직원들의 태도 등에 대해 가감 없는 쓴소리를 듣고 이를 사업실행 과정과 방식에 반영하는 방안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현장에서 나오는 의견은 다양하다. 게임에 대한 사회적 ‘편견’을 해소해 달라는 이야기도 있었고, 중국 영화시장을 향한 할리우드와의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새로운 전략을 함께 세우자는 의견도 나왔다. 상대적으로 인프라가 취약한 지방의 콘텐츠 기업에 대한 지원을 강화해 달라는 요구도 있었다.
그중에는 중국 현지 거점 확보나 게임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처럼 예산이나 시간이 많이 필요해 지속적으로 해결책을 모색해야 할 것도 있다.
그러나 지방기업에 대한 지원사업 가산점 제도 확대나 지원과제 보고문서 간소화 등 당장 사업에 반영하면 업체들의 손톱 밑 가시를 뽑아줄 수 있는 사항도 있다.
그런데 콘텐츠의 장르를 불문하고 공통적으로 나오는 목소리가 있다. 기획이나 제작 초기단계의 콘텐츠에 대한 자금 지원이 절실하다는 하소연이다. 1조 원에 육박하는 관련 매출을 올린 뽀로로의 담보가치가 0원으로 매겨지는 현재의 시스템에서는 아무리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있어도 콘텐츠 제작에 필요한 자금을 확보하는 것이 너무 힘들다는 것이다. 시중 은행 등 기존 금융권에서 자금을 빌리려 해도 높은 이자율과 까다로운 담보조건 때문에 융자가 쉽지 않아 뛰어난 아이디어와 콘텐츠가 꽃도 못 피우고 사라져 버리는 경우가 다반사라고 한다.
이러한 업계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준비하고 있는 것이 콘텐츠공제조합의 설립이다. 콘텐츠공제조합이 잘 운영되면 영세한 국내 콘텐츠기업이 제작 초기자금을 좀 더 쉽고 편하게 융자 혹은 투자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콘텐츠산업의 성장을 위한 ‘혈액’을 공급하는 ‘심장’인 셈이다.
콘텐츠공제조합의 성공적 운영을 위해서는 대기업의 적극적인 출자가 절실하다. 대기업들이 콘텐츠공제조합에 참여해야 할 이유는 많다. 무엇보다 대기업이 콘텐츠산업의 가장 큰 수혜자이기 때문이다. 한류 콘텐츠의 수출은 한국과 한국 상품에 대한 호감도를 높여 제조업의 수출 증대를 견인한다. 또 중소기업과의 동반성장 생태계 조성에 공헌하며,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이나 기업 메세나의 취지에도 부합한다.
콘텐츠공제조합의 경우처럼, 현장과의 소통은 고객의 눈높이에 맞는 지원 사업을 펼칠 수 있는 기반이 된다. 생생한 업계의 목소리가 반영된, 진정으로 업계와 국민이 필요로 하는 지원정책을 만들어 국민의 세금을 낭비하지 않는 방법이기도 하다.
앞으로도 만화가, 애니메이션 제작자, 독립 음악제작자 등 지속적으로 다양한 현장의 목소리를 들으려고 한다. “답은 역시 항상 현장에 있다”고 굳게 믿기 때문이다.
2013-07-22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