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공급망 위기가 지속되는 가운데 최윤호 삼성SDI 사장이 “속도감 있는 실행으로 위기를 극복하자”고 강조했다.
삼성SDI는 지난 1일 경기도 기흥사업장에서 ‘52주년 창립기념식’을 개최했다. 이날 최 사장을 비롯해 임직원 약 120여명이 참석했다. 여전히 코로나19가 이어지는 상황을 감안해 나머지 임직원은 각자 PC를 통해 원격으로 행사를 시청했다.
최 사장은 기념사를 통해 “글로벌 탑티어가 되기 위해선 ‘초격차 기술경쟁력’, ‘최고의 품질’, ‘수익성 우위의 질적 성장’ 등 3가지 경영방침은 더욱 중요해졌고, 보다 속도감 있게 실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글로벌 공급망 변화 등 대내외 경영환경 위기가 커졌다면서 3가지 경영방침 가운데 ‘초격자 기술경쟁력’을 특히 강조했다. 차별화된 기술력이 바탕이 되어야 품질 확보와 질적 성장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최 사장은 삼성SDI가 보유한 리튬이온 배터리 성능 극대화 기술, 전고체 배터리 등 차세대 배터리 기술, 반도체·디스플레이용 신규 소재 개발 기술 등을 강조하며 “대외 네트워크와 기술 협력을 강화해 경쟁사가 넘볼 수 없는 초격차 기술경쟁력을 확보하자”고 말했다.
기술력 강조는 최근 유럽 출장을 다녀온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기조와도 일치된다. 이 부회장은 귀국 후 취재진과 만난 자리에서 “아무리 생각해봐도 첫 번째도 기술, 두 번째도 기술, 세 번째도 기술 같다”고 강조했다. 최 사장도 이 부회장의 유럽 출장에 동행해 헝가리 삼성SDI 배터리 공장 등을 함께 방문했다.
아울러 품질 리스크의 위험성도 짚었다. 최 사장은 “품질 리스크는 회사의 성과를 하루아침에 무너뜨리고, 사업을 존폐 위기에 빠트릴 수 있는 만큼 임직원들의 의식 개선과 동참이 필요하다”면서 “하나의 운영 플랫폼으로 표준화해 전세계 어느 곳에서든 최고의 품질을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자”고 주문했다.
뒤이어 글로벌 완성차 기업 스텔란티스와의 미국 합작사 설립, 고성장이 예상되는 대용량 원형 및 전고체 배터리 등을 언급하며 “조기 양산을 통해 차세대 제품 시장을 선점해 수익성 우위의 질적 성장을 이뤄나가자”고 밝혔다.
나상현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