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시장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관망세가 깊어지고 있다. 또 서울과 수도권 전세시장은 완만한 상승세를 보이며 심상찮은 분위기를 풍기고 있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18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서울 강남 4구의 재건축 아파트값은 속절없이 떨어지고 있다. 강동·강남·서초·송파구가 모두 하락했다. 매수세가 거의 끊긴 단지에선 올해 들어 가장 큰 하락 폭을 기록했다.
강남권 재건축 단지에선 거래 부진과 ‘실망 매물’ 등장이란 두 가지 악재가 작용하고 있다. 주간 변동률이 요동치면서 지난주 주간 하락 폭은 지난해 11월 중순 수준을 나타냈다. 강동구에선 고덕주공2단지와 둔촌주공 등의 가격이 동시에 내렸다. 급매물이 속속 등장하면서 둔촌주공1단지(82㎡)는 8억~8억 2000만원 선으로 1000만원가량 하락했다.
일반 아파트 매매가격은 강동·서초·송파·영등포·양천·강남·노원 등의 내림세가 강했다. 서울 지역 전반적으로는 균형을 맞추며 보합세를 보였다. 서초구는 수요가 탄탄해 상대적으로 하락 폭이 적었지만 최근 집값 하락세를 주도하고 있다. 고가 주택 수요는 크게 움츠러들었다. 잠원동 한신19차(119㎡)는 8억 5000만~9억 8000만원 선으로 3000만원가량 떨어졌다.
신도시는 뚜렷한 움직임이 없는 가운데 분당·중동·평촌 등이 하락했다. 전반적으로는 보합세를 띠었다. 경기에서는 용인·안양·과천 등이 하락했다.
전셋값은 봄 이사철을 맞아 상승세를 지속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상승 폭은 아직 크지 않다.
오상도기자 sdoh@seoul.co.kr
2012-03-19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