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고위공직자 작년 재산 평균 5.8% 증가

대구 고위공직자 작년 재산 평균 5.8% 증가

입력 2010-04-02 00:00
수정 2010-04-02 11:1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지난해 대구지역 고위 공직자와 시의원, 구.군의원, 관계기관 사장 등의 1인당 평균 재산이 소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시 공직자윤리위원회는 2009년 말 기준으로 김범일 대구시장을 비롯해 부시장, 시의원, 구청장.군수 등 40명의 1인당 평균 재산총액이 14억8천373만5천원인 것으로 신고됐다고 2일 밝혔다.

이는 전년도의 14억244만9천원보다 5.8%(8천128만6천원) 늘어난 것이다.

최고액 신고자는 전년도에 이어 류병노 시의원으로 89억6천149만4천원이었고 이경호 시의원은 마이너스 9억5천138만5천원으로 2008년에 이어 최저 신고자로 기록됐다.

김 시장은 전년도보다 1억1천806만4천원(6.1%)이 증가한 20억4천564만9천원을 신고했다. 김 시장 측은 소득 수입과 임대채무 감소 등으로 재산이 늘었다고 설명했다.

기초단체장급 이상 가운데 26명(65%)은 재산이 증가했고 14명(35%)은 감소했다.

재산 최다 증가자는 나종기 시의원으로 19억7천821만원(80.2%)이 늘어난 44억4천521만6천원을 신고했다.

지난 2월 임명된 김연수 대구시 행정부시장의 재산 변동사항은 오는 9일 관보에 공개될 예정이다.

또 지역 공직 관계기관 사장과 구.군 의회 의원 등 119명의 평균 재산총액은 8억1천683만9천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대비 3천611만2천원(4.6%)이 증가한 것이다.

기초의원 중 최고액 신고자는 정종태 달성군의원(56억2천690만7천원)이고 최저 신고자는 김재관 달서구의원(마이너스 6천819만5천원)이었다.

구미경 서울시의원, 어린이 대상 의정 교육에서 기획경제위원회 역할 알기 쉽게 소개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 소속 구미경 의원(국민의힘, 성동2)은 지난 22일 성동구 숭신초등학교에서 진행된 ‘EBS 찾아가는 서울시의회 퀴즈쇼 해통소통 탐험대’ 녹화에 출연해, 초등학생들과 함께 서울시 예산과 경제정책을 주제로 퀴즈를 풀며, 기획경제위원회의 역할을 알기 쉽게 소개했다. ‘해통소통 탐험대’는 서울시의회와 EBS가 공동 기획한 어린이 대상 의정 교육 프로그램으로, 상임위원회별로 1명의 의원이 직접 출연해 어린이 눈높이에 맞춘 퀴즈와 대화를 통해 서울시의회 상임위의 기능을 쉽게 전달하고자 마련된 체험형 의정 프로그램이다. 이날 구 의원은 서울시 예산의 편성과 집행 과정, 정책 우선순위 결정, 투자 및 일자리 창출 등 시정 전반을 조정하는 기획경제위원회의 주요 기능을 설명했다. 특히 서울시의 살림을 어떻게 계획하고 운영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기획경제위원회의 핵심 과제임을 강조하며, 실생활과 연결된 사례를 통해 개념을 쉽게 전달했다. 현장에 함께한 초등학생들은 퀴즈마다 적극적으로 손을 들고 정답을 외치며 열띤 분위기를 만들었고, 구미경 의원은 각 문제에 친절한 해설을 덧붙이며 아이들의 이해를 도왔다. 구 의원은 “예산이나 정책이라는 단어가 어
thumbnail - 구미경 서울시의원, 어린이 대상 의정 교육에서 기획경제위원회 역할 알기 쉽게 소개

시 공직자윤리위는 신고 내용을 대상으로 성실신고 여부를 심사한 뒤 재산누락 또는 불성실 신고자에 대해서는 관련 규정에 따라 과태료 부과, 경고 또는 보완 등의 조치를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