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中 5월 판매량 8~10.3% 줄어 국제금융시장서 주가 하락 지속
현대자동차그룹에 대한 위기론이 커지고 있다.
연합뉴스
새 엔진 탑재 현대차 싼타페 더 프라임
4일 서울 강남구 현대자동차 강남 오토스퀘어에서 모델이 싼타페 더 프라임을 선보이고 있다. 싼타페 더 프라임은 질소산화물을 50% 이상 감축하도록 한 환경부의 유로6 배출가스 규제를 만족시키는 e-VGT R엔진을 탑재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4일 국제금융시장에 따르면 현대차 주가는 지난 2일 275억 2000만 달러(약 30조 4000억원)를 기록한 데 이어 다음날인 3일 주가가 전일 대비 2.17% 더 떨어지면서 세계 시가총액 500위 밖으로 밀려났다. 지난해 말 현대차는 시가총액이 340억 6000만 달러(약 37조 7000억원)로 337위였다.
이는 현대차그룹의 실적 악화가 결정적으로 작용했다. 현대차의 지난 1분기 국내외 시장 판매량은 전년 같은 기간 대비 3.7%, 기아차는 2.7% 감소했다. 글로벌 주요 완성차 업체들 중 가장 높은 수준이다.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글로벌 시장에서 현대차의 주력 시장인 미국과 중국에서 실적 부진 양상이 뚜렷하다는 점이다. 지난 5월 현대차는 미국 시장에서 전년 같은 달 대비 10.3% 감소한 6만 3610대 판매에 그쳤다. 올 들어 최저 판매 기록이다. 중국시장 판매량도 신통치 않다. 미래에셋증권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5월 현대차와 기아차의 중국시장 판매량은 각각 8%와 6%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차의 안방인 내수시장에서도 이미 수입차들의 거센 도전을 받은 지 오래다. 지난 5월까지 국내 자동차 시장에서 수입차 판매량은 9만 5557대로 전년 같은 기간에 비해 25.5%나 증가했다. 같은 기간 현대·기아차의 국내 판매량은 각각 3.6%, 2.8% 감소하면서 오히려 뒷걸음질을 쳤다. 현대차는 지난 1분기 전년 대비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4.8%, 3.3% 감소했다.
일각에서는 현대차 내부의 위기의식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실적 악화에 대한 우려가 지속적으로 제기됐지만 이에 대한 뚜렷한 대응 전략이나 비전을 내놓지 못했다는 것이다.
박재홍 기자 maeno@seoul.co.kr
2015-06-05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